|
|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8일 서울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열린 '2015 한국은행 국제 컨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상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8일 ‘2015 한국은행 국제콘퍼런스’ 개회사에서 “미국이 통화정책을 정상화해 시장금리가 예상보다 크게 오른다면 가계, 기업, 금융기관 등의 채무상환 부담이 커지고 투자손실도 생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총재는 미국이 양적완화 정책을 펼친 뒤 국제금융시장에 유동성이 크게 들어오자 가계와 기업이 빚을 늘리고 위험도가 높은 자산에도 상당히 투자했다고 진단했다.
그는 각 경제주체들이 통화정책 완화 기조가 오래 이어지면서 금리인상 충격에 대응할 힘이 약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이 총재는 이 때문에 시장금리 인상에 따른 충격이 금융시스템을 불안정하게 만들면서 실물경제가 다시 부진에 빠질 수 있다고 염려했다. 벤 버냉키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의 양적완화 축소 발언에서 시작된 ‘긴축 발작’ 현상이 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긴축 발작 현상은 버냉키 전 의장이 2013년 양적완화 규모를 일부 축소하겠다고 말한 뒤 신흥국가에 투자됐던 자금이 급작스럽게 빠져나갔던 것을 가리킨다. 투자자들이 통화량 부족으로 미국 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자금을 미국으로 돌렸기 때문이다.
이 총재는 이런 위험에 대응하려면 경제적 구조개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외부충격에 대한 복원력을 높이려면 경제 기초여건을 강화하는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며 “통화정책과 재정정책도 저성장과 저물가에 적절히 맞춰 경제의 활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때문에 금융시스템이 불안해지지 않도록 상황에 맞는 거시건전성 정책을 시행해 위험을 관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이 서로 협력해 기준금리 인상의 부정적 파급효과를 줄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글로벌 금융안전망을 강화하기 위해 공조해야 한다는 의견도 내놓았다.
이 총재는 콘퍼런스가 시작되기 전 기자간담회에서 6월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모든 경제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겠다는 뜻을 보였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내수경기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 구체적 언급을 피했다.
한국은행은 오는 11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6월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