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가 재난방송을 습관처럼 지연해 보도했다는 비판을 바당ㅆ다.
KBS는 입력 절차상의 문제이거나 취약시간대라고 해명했다.
16일 윤상직 자유한국당 의원이 방송통신위원회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KBS는 2017년 182건, 2018년 362건의 재난방송이 지연됐다.
방통위 통보시각보다 KBS가 1~50분 늦게 송출한 재난방송이 509건으로 전체 96%를 차지했다. 50~100분이 17건, 100~150분이 9건, 150~200분이 5건이었으며 200분 이상 지연도 4건이나 됐다.
2018년 2월 경북 포항 지진정보 제공은 48분, 2018년 7월 홍수주의보 발령은 69분 늦은 것으로 파악됐다. 같은 해 8월 남해·부산앞바다 태풍주의보 발표는 44분 지연됐다.
윤 의원은 “방통위가 지난해 재난방송 등 종합 매뉴얼 표준안을 배포해 재난을 국민에게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할 것을 주문했지만 KBS의 늑장대처가 매년 습관처럼 계속된다”고 지적했다.
KBS는 지난해 자동 자막시스템을 갖췄으나 이전에는 통보받은 후 자막 입력과 주조를 거치는 과정에 1분 이상 소요됐다고 해명했다.
포항 지진 때는 통보 즉시 자동 자막을 내보내 방송 필요성이 없었고 홍수주의보도 통보 10분 후 스크롤 자막 방송을 했다고 설명했다. 태풍주의보도 주의보 발효 기준에 따라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KBS는 재난방송이 50분 이상 지연된 것과 관련해서는 “자막 방송 후 보고를 위해 입력하는 절차를 지연한 것이나 심야 등 취약시간대였다”고 말했다.
KBS는 “지진과 자연재난 모두 지난해 12월 자동 자막시스템이 구축돼 방통위 통보 즉시 자동 방송된다”며 “방통위에 관련 문제로 과태료를 낸 적은 없다”고 덧붙였다.
KBS는 최근 강릉 산불 발생 당시 재난방송을 소홀히 해 문재인 대통령 등으로부터 질책을 받았다. 현장 특보에 나선 기자가 강릉시에서 보도를 하면서 고성군 화재 현장에 있다고 허위보도를 해 비판을 받기도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