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 행장은 인터넷전문은행을 준비하는 '토스뱅크'가 막강한 모바일 금융플랫폼 '토스'를 앞세우며 중금리대출을 강조하고 있어 다가올 경쟁도 준비해야 하는데 지금 상황이 답답할 수밖에 없다.
29일 은행업계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금융위원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KT의 케이뱅크 대주주 적격성 심사가 진행 상황에 따라 주금납입일 연기 등도 고려하고 있다.
은행업계 관계자는 “1월 결의한 유상증자의 주금 납입일인 4월25일까지 금융위의 심사가 끝나지 않으면 케이뱅크가 주금 납입일 일정을 연기할 수도 있다”며 “계획했던 59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가 아닌 일부 금액만 유상증자가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케이뱅크가 인터넷전문은행으로 안정적으로 영업하기 위해서는 1조 원 이상의 자본금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케이뱅크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4774억 원의 자본금을 마련해 출범 2년이 가까워 옴에도 아직 자본금 1조 원을 확보하지 못했다. 케이뱅크보다 출범이 3개월 정도 늦었던 카카오뱅크는 2018년 3분기에 자본금 1조 원을 넘겼다.
제3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를 신청한 토스뱅크(가칭)도 출범 2년 안에 자본금 1조 원 이상을 확충할 계획을 세워뒀다.
심 행장은 중금리대출시장을 안정적으로 공략하기 위해서 자본 확충이 절실하다.
심 행장은 올해 초 신용대출한도 산출체계를 바꾸고 가산금리를 낮추는 등 적극적으로 중금리대출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케이뱅크가 이처럼 적극적 시장 공략방안을 마련할 수 있었던 것도 2018년 12월 말 이뤄진 743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 덕분이다.
유상증자를 앞세워 케이뱅크의 2018년 말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6.53%로 직전분기보다 5%포인트가량 높아졌다.
하지만 금리 경쟁 등 공격적 마케팅을 꾸준히 하기 위해서는 자본금이 충분히 마련돼야 한다.
인터넷전문은행을 준비하고 있는 토스뱅크도 중금리대출시장을 공략하겠다고 밝히는 등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이는 만큼 새 경쟁자가 시장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 자본금 규모를 늘릴 필요가 있는 것이다.
케이뱅크가 새 사업분야로 진출을 위해서도 자본금을 확보해야 한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유상증자를 통해 비대면 자산관리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예금 및 대출을 통한 이자수익 위주의 수익구조에서 벗어나 비이자수익을 낼 수 있는 서비스를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케이뱅크의 자본금 확충을 위해 유상증자에 새 투자자를 참여시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2018년 말 진행된 유상증자에서도 IMM프라이빗에쿼티(IMM PE)가 새 주주로 참여했다. IMM프라이빗에쿼티는 약 470억 원을 투자해 케이뱅크 지분 9.9%를 확보했다. 다른 사모펀드의 참여도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KT가 케이뱅크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통과한다면 케이뱅크의 자본금 확충은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다.
하지만 KT는 지하철 영상광고에 입찰 담합을 했다가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2016년 7천만 원 벌금형을 받은 적이 있다. 더군다나 공정거래위원회가 다른 정부 입찰에서도 KT를 비롯한 통신사들의 담합이 있었는지 추가로 조사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대주주 적격성 심사 통과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KT 관계자는 “인터넷전문은행 특례법 시행 취지에 따라 KT가 금융당국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통과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