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리스트’ 파문의 불똥이 금융권으로 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경남기업의 워크아웃 과정에서 특혜성 지원을 받기 위해 금융권 주요인사들에게 로비를 시도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
|
|
▲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 |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은 경남기업이 2013년 3차 워크아웃을 받을 당시 금융감독원과 채권은행의 주요 인사를 만났다는 기록을 남겼다.
성 전 회장이 남긴 수첩에 2013년 9월 당시 최수현 전 금융감독원장, 김진수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이팔성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임종룡 금융위원장, 김용환 NH농협금융지주 회장 내정자, 홍기택 KDB산업은행 회장 등을 만났다고 적혀 있다.
김진수 전 부원장보는 당시 기업구조조정을 담당하는 기업금융구조개선국 국장이었다. 임종룡 위원장과 김용환 내정자는 각각 경남기업 채권단인 NH농협금융지주 회장과 수출입은행장을 맡고 있었다.
채권단은 경남기업이 2013년 10월 3차 워크아웃을 신청한 직후 긴급자금 지원을 결정했다. 경남기업은 2014년까지 대주주의 주식 감자 등 불이익 없이 모두 6300억 원 규모의 지원을 받았다.
그러나 채권단은 경남기업이 당시 완전자본잠식 상태는 아니었기에 주식을 감자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당시 경남기업에게 900억 원 규모의 특혜성 대출을 하도록 채권은행을 압박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이에 대해 경남기업이 당시 부도가 나면 1600여 개의 하청회사가 함께 피해를 입을 상황이라 대출을 요청했다고 해명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경남기업에 대한 대출을 채권은행 여신위원회가 자체적으로 판단해 결정했다고 강조한다.
성 전 회장이 남긴 기록에 전현직 최고경영자(CEO)의 이름이 오른 채권은행들은 로비의혹이 커지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NH농협금융은 임종룡 전 회장과 김용환 회장 내정자가 모두 이름이 올라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김 내정자가 수출입은행장으로 있을 당시 경남기업 채권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었다. NH농협금융은 김 내정자가 오는 24일 공직자윤리위원회 취업심사를 받는데 혹시 성완종 리스트의 파문이 승인과정에서 불리하게 작용할까 염려하고 있다.
경남기업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을 비롯한 채권은행들도 성완종 리스에 대한 검찰수사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들 채권은행들은 경남기업 상장폐지로 입은 전체 손실 규모만 800억 원에 이르는 점도 부담으로 안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경남기업 구조조정을 담당했던 금융감독원과 채권은행으로 검찰수사가 확대될지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