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훈 포스코건설 대표이사 사장이 내세우는 포스코건설의 경영원칙이다. 하지만 최근 부실공사 논란과 안전사고 발생으로 이 사장은 포스코건설 이미지 하락을 놓고 고심이 깊어지게 됐다.
▲ 포스코건설 송도사옥.
20일 포스코건설에 따르면 '고속도로 건설에 따른 인천 삼두아파트 균열 의혹'의 세부 해결 방안을 두고 삼두아파트 비상대책위원회와 의견 차이가 2년 이상 지나도록 좁혀지지 않고 있다.
포스코건설 관계자는 “삼두아파트 비상대책위원회와 포스코건설 양측 모두 안전진단을 실시해야 한다는 점에는 공감하고 있다”며 “다만 안전진단업체 선정에 의견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비대위 측이 (안전진단업체를) 비공개로 선정하겠다는데 받아들이기 힘든 조건”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삼두아파트 비대위 관계자는 “비공개로 선정하겠다고 말한 적 없다. 왜 그런 이야기를 하는지 모르겠다”며 “핵심은 안전진단을 어느 범위까지 하느냐의 문제”라고 반박했다.
포스코건설은 2015년~2017년 삼두아파트 지하터널 구간을 포함하는 인천-김포고속도로 공사를 진행했다. 삼두아파트 측은 2015년 포스코건설이 지하터널 발파공사를 한 뒤 아파트 건물에 균열이 생기고 지반이 침하하기 시작했다고 주장하면서 포스코건설은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됐다.
양측은 2017년부터 2018년 10월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정밀 안전진단과 관련한 합의를 시도했다. 그 과정에서 비대위 측은 아파트 지반 침하와 균열의 원인 규명을, 포스코건설은 아파트의 현재 안전상태만 진단할 것을 주장해 번번이 합의가 어그러졌다고 비대위 측은 설명했다.
삼두아파트를 두고 사회적 논란이 커지자 국토교통부까지 “빠른 시일 안에 양측의 이견을 조절해 정밀 안전진단을 시행하라”며 중재에 나서기도 했다.
삼두아파트 균열 원인 논란은 이 사장 취임 전에 발생한 일이지만 이후 사태 수습이 원만하게 이뤄지지 않으면서 이 사장의 대처능력이 시험대에 올랐다.
삼두아파트 안전진단 문제에 관한 합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비상대책위원회는 2018년 12월 포스코건설 등을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포스코건설이 안전 문제에서 기업 이미지에 손상이 갈 만한 구설수에 오른 일은 또 있다. 2018년 말 전주와 창원의 ‘에코시티더샵2차아파트’ 등에서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검출된 데 이어 최근 동탄2신도시의 ‘동탄더샵레이크에듀타운’에서도 라돈이 기준치의 13배가량 검출됐다는 의혹까지 일었다.
이에 포스코건설이 라돈 검출과 관련해 후속대응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 사장은 2018년 3월 취임하면서부터 안전 문제를 특히 강조해왔다. 하지만 지난해 포스코건설 현장에서 사망한 근로자는 알려진 것만 10여 명에 이른다. 그가 내세우는 ‘안전경영’이 무색해지는 대목이다.
이 사장은 취임 이후 포스코건설 모든 건설현장에서 안전점검을 지시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을 보였지만 '라돈 아파트'라는 비아냥과 인명사고라는 불명예를 여전히 안고 있다.
이 사장은 1959년 생으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학위를, 영국 런던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는 등 엘리트 코스를 밟아왔다.
1985년 포스코 전신인 포항제철에 입사한 뒤 포스코 기획재무부문 경영기획실장, 재무투자부문 재무실장, 전략기획총괄부문 재무실장, 경영전략실장을 역임했다. [비즈니스포스트 홍지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