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우리 경제는 최근 민간 투자가 급격하게 위축되고 금융시장의 변동성도 높아지는 등 어려움을 더욱 크게 겪고 있다”며 이처럼 강조했다.
김 부총리는 “고용과 분배 지표가 나빠지면서 삶의 질도 좀처럼 나아지지 못하고 있다”며 “미국과 중국의 통상마찰이 심화되고 주요 국가들의 통화정책은 정상화되는 등 대외적 불확실성도 높아지고 있다”고 파악했다.
2019년도 예산안의 중점을 일자리로 제시하면서 법정기한인 12월2일 전까지 국회에서 예산안을 처리해 줄 것을 거듭 요청했다.
예산을 쓸 구체적 방법으로 일자리의 직접 지원, 민간의 고용 창출 지원, 고용안전망의 강화 등을 제시했다. 그밖에 플랫폼 경제의 기반 구축과 연구개발(R&D) 등의 혁신성장, 소득분배 개선과 사회안전망의 확충, 저출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 확대 등도 내놓았다.
김 부총리는 “2019년에도 경제와 사회 전환기에 더욱 빠르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재정이 중추적 역할을 맡을 것”이라며 “예산 외에 금융, 세제, 규제 개편 등 모든 정책수단을 효율적으로 빠르게 동원해 경제의 체질을 개선하고 미래를 이끌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자유한국당 등에서 일자리 예산의 증액을 반대하고 있는 것을 놓고 김 부총리는 “2019년도 일자리 예산 23조5천억 원 가운데 10조 원은 실업급여 등의 고용 안정성을 위해 주는 만큼 줄이기 어려운 경직성 예산”이라며 난색을 나타냈다.
한국 경제가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을 동시에 겪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을 받자 김 부총리는 1·2차 오일쇼크 당시의 스태그플레이션을 예로 들면서 “한국 경제가 현재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졌다고 보는 것은 맞지 않다”고 반박했다.
그는 “국제적 관점에 따르면 두 분기 연속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해야 경기 침체로 보는 점을 생각하면 우리가 지금 침체에 빠졌다고 보는 것은 과하다”며 “물가상승률도 최근 2%를 넘어섰지만 연간 기준으로는 1.6%~1.7% 정도로 보고 있다”고 맞섰다.
다만 김 부총리는 “고용 상황, 반도체 착시 등의 이중 구조화, 국민의 ‘삶의 질’ 하락, 소상공인과 취약계층의 어려움과 분배 문제 등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기업의 ‘기 살리기’나 규제 개편을 통해 시장의 역동성을 살리는 일 등에도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말했다.
김 부총리는 소득층의 난방에 주로 쓰이는 등유를 추가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신용카드 소득공제를 관련 규정의 일몰 이후에도 계속해야 하는지 질문받자 김 부총리는 “일몰도 검토할 수 있지만 국민이 시스템으로 생각하고 있어 급속한 공제 축소는 신중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