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월 기준 금리를 연 2.00%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가계부채 등 부작용을 고려해 추가 인하를 하지 않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
|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17일 전체회의를 열어 2월 연 2.00%인 기준금리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한은은 지난해 8월과 10월 각각 0.25%포인트씩 기준금리를 내린 뒤 넉 달째 동결 기조를 이어갔다.
이주열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 동결은 만장일치"라며 "금리정책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과거에 비해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한은이 기준 금리를 유지하기로 결정한 것은 지난해 4분기 이후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우려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가계부채는 지난해 주택 대출 규제완화 정책이 발표되며 4분기에만 20조 원 이상 늘어났다. 올해도 가계부채 증가세가 이어져 올 1월에도 은행권 가계대출이 1조4천억 원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 증가 규모도 지난해 10월 기준금리 인하 이후 더욱 확대돼 지난 10월 6조원, 11월 5조9천억 원, 12월 6조2천억 원으로 나타났다.
현재 가계부채는 가처분소득의 160% 수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치인 136.2%를 크게 웃돌고 있다.
더욱이 정부가 연 1%대의 수익공유형 주택대출을 도입하기로 함에 따라 기준금리를 내리면 가계부채가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한은은 가계부채가 늘어날수록 소비가 줄어 경제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본다. 금융시장 전문가들도 한은이 이달 기준금리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금리가 떨어지면 가계부채가 더욱 늘어나는 만큼 지금은 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면서 방향성을 지켜보는 게 맞다”고 말했다.
하지만 한은이 올해 상반기중 기준금리를 추가인하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저물가 기조에 따른 디플레이션 우려가 나오고 세계 각국의 통화완화정책 시행 등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박성욱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금융연구실장은 “아직까지 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지만 지난달과 비교하면 인하압력이 커진 것 같다”며 “무엇보다도 환율측면에서 부담이 된다”고 말했다.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1분기 국내총생산(GDP) 결과에 따라 한은이 기준금리 추가인하를 결정할 것으로 내다본다.
김진성 우리금융경영연구소 거시분석실장은 “정부나 한은 입장에서 경기개선에 대한 기대를 그려나가고 있으나 아직 실질적으로 확인되지 않고 있다”며 “1분기 GDP가 발표될 때까지 추가인하 결정이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