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시장은 26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여의도 도시계획은 전적으로 서울시장의 권한”이라며 “투기를 억제하려는 거면 국토부가 지닌 정책 수단이 많기 때문에 당연히 협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최근 부동산정책을 놓고 정부와 엇박자를 냈다는 말을 듣자 정부 부처와 협의가 진척되지 않더라도 밀고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인 셈이다.
그는 “여의도·용산 개발은 오래전부터 준비해왔던 것으로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종합적 도시계획이 필요하다는 뜻이지 전면 철거하고 새로 짓겠다는 게 아니다”고 덧붙였다.
박 시장은 최근 여의도 마스터플랜과 함께 소상공인 간편결제 ‘제로페이’ 도입도 추진하고 있다.
제로페이는 박 시장이 서울시장 선거 공약에서 '서울페이'라고 블렀던 결제 시스템의 새 이름이다.
제로페이는 소상공인들의 카드 결제 수수료 부담을 없앤다는 취지를 담아 고안된 것으로 카드가 아닌 스마트폰 결제어플을 통해 거래하는 방식이다. 현재 소상공인이 내는 카드 수수료의 실질부담은 많게는 영업이익의 50%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는데 제로페이 도입 시 수수료가 0%로 부담이 크게 줄어든다.
박 시장은 25일 중소벤처기업부를 비롯해 부산·인천·전남·경남 등 지방정부와 신한·국민·하나은행 등 11개 은행, 카카오페이·페이코 등 5개 민간 결제플랫폼 사업자와 업무협약을 맺었다. 15일에는 서울시청에 서울페이(제로페이) 추진반도 만들어 공무원 15명을 배치했다.
문재인 정부는 서울시에서 제로페이가 안착되면 올해 안으로 부산 등 시범지역들로, 2020년까지는 전국으로 이 결제 서비스를 확산해나간다는 방침을 세워뒀다.
박 시장은 서울시장 3선에 도전할 때 핵심 공약으로 서울페이를 내놓았다. 당시 현실적으로 이용자 수를 늘리기 어렵다는 반응도 나왔지만 박 시장은 보완책을 만들며 밀고나가고 있다.
박 시장은 2011년 서울시장에 오른 뒤 7년 동안 그의 이름을 붙일 만한 대대적 정책을 시도한 적이 없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청계천 복원 및 대중교통 환승제,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120다산콜센터 및 디자인서울 등 대표 업적이 있는데 박 시장은 전임자들과 비교하면 내세울 만한 것이 없는 셈이다.
이런 측면에서 박원순표 정책들이 성공한다면 2022년 박 시장의 대선 출마에 힘을 실을 수도 있다는 말도 나온다.
박 시장은 2017년 1월2일 민주당에서 첫 번째로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가 26일 접었다. 문재인 당시 후보 등에 밀린 채 지지율 반등을 이루지 못하고 경선 예비 후보 등록일인 26일을 맞았기 때문이다.
국내 경제의 30%를 차지하는 소상공인들은 최근 결집하며 정치세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 가운데 서울에서 시작된 제로페이가 이들의 일부 고충을 덜어준다면 박 시장은 지금까지와 질적으로 다른 지지를 얻게 될 가능성도 있다.
박 시장은 아직 대선과 관련해 바라보는 시각을 경계하고 있다.
그는 올해 4월 한 매체와 인터뷰에서 “지난번에 대선 행보를 잠깐 해봤는데 대선이라는 게 자기가 하고 싶다고 되는 일은 아니지 않는가”라며 “대선은 한참 남은 이야기고 저는 지금 더 나은 시민의 삶과 문재인 정부의 성공을 이루고 싶을 뿐”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주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