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제주 제2공항 건설의 첫 발을 떼는 데 고전하고 있다.
2015년 실시한 제주공항 인프라 확충의 사전 타당성 검토를 놓고 타당성 재조사에 들어가면서 계획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는데 앞으로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지도 확실하지 않다.
3일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제주 제2공항을 놓고 아직 세부적으로 논의된 사항은 없다”며 “사전 타당성 검토에 큰 오류가 없다는 결과가 나오면 기본계획에 착수될 가능성이 높지만 속단하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는 늘어나는 제주도 관광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2015년 11월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 계획안을 발표했다.
사업내용은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에 3200m 활주로 1개와 9만2400㎡의 국내선 터미널, 7만㎡의 국제선 터미널 등을 짓는 것으로 4조870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2025년 완공하겠다는 것이 애초 목표였다.
하지만 지역 주민들이 후보지 선정을 놓고 반발하면서 착공은 계속 미뤄졌다. 성산읍 주민들은 ‘성산읍 반대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제주 제2공항 건설이 국토교통부의 일방적 결정으로 이뤄졌다고 주장해왔다.
성산읍 반대대책위원회는 애초 용역 결과에서 안개일수 데이터가 조작됐다는 점과 성산읍 일대 오름이 훼손될 가능성이 제대로 평가되지 못했다는 점을 반대의 이유로 들었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타당성 재조사에서 중대한 오류가 발견되지 않으면 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지역 주민과의 갈등 봉합이 쉽지 않아 보인다.
우선 타당성 재조사를 실시할 용역기업 입찰 과정에서 잡음이 있었던 만큼 지역 주민들이 재조사 결과를 무리 없이 받아들일지 장담하기 힘들다.
국토교통부는 2017년 12월 타당성 재조사를 수행할 용역으로 유신 컨소시엄을 낙찰했다. 그러나 유신 컨소시엄은 2015년 제주 제2공항 부지로 성산읍을 선정한 용역 당사자라는 이유로 반발이 커 유신 측이 자진 철회했다.
이후 재공모에서는 포스코건설 컨소시엄만 입찰에 참여해 유찰됐고 6월29일 마지막 재공모에서 포스코건설이 수의계약으로 용역을 따냈다. 국가계약법에 따라 2차 공모부터는 수의계약이 가능하다.
이를 놓고 성산읍 지역 주민들은 애초 타당성 재조사 입찰 과정에서 일반경쟁이 이뤄지지 못했기 때문에 용역기업의 역량이 검증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교통부 예산으로 타당성 조사를 진행하는 용역기업이 국토교통부에 유리한 결론을 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국토교통부는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기 위해 검토위원회를 구성하고 연구 단계마다 결과를 성산읍 이장단, 제주공항 인프라 범도민추진협의회 등 지역사회에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타당성 재조사가 이뤄지는 3개월 안에 검토위원회 등을 설치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3개월이 길지 않은 기간인 만큼 재조사에 착수하기 전에 주민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구체적 해법이 마련됐어야 한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이번 타당성 재조사가 무리 없이 진행되더라도 제주 제2공항 건설은 2021년 이후 시작될 수 있다. 처음 계획보다 4년 가까이 미뤄지는 셈이다.
재조사 결과 중대한 오류가 발견되면 사업을 전면 재검토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착공 시기를 예측하기 더 힘들어진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예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