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내놓은 뉴스 댓글 개선안을 놓고 실효성이 없는 대책이란 비판이 계속 나오고 있다.
네이버는 한 계정당 댓글 수를 3개로 제한하는 등 관련 개선안을 발표했지만 아웃링크 도입 등 핵심사안이 빠져 있어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 한성숙 네이버 대표이사가 25일 경기도 성남시 본사에서 드루킹 댓글조작 사건과 관련 자유한국당 김성태 원내대표 등 의원들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뉴시스> |
네이버는 25일 같은 기사에 작성할 수 있는 댓글 수를 기존 20개에서 3개로 대폭 축소하는 등 내용을 담은 댓글 규정 개편안을 발표했다.
한 번 댓글을 작성하면 60초가 지나야 추가 댓글을 쓸 수 있도록 규정도 강화했다. 기존에는 10초를 주기로 댓글을 작성할 수 있었다.
하나의 계정에서 누를 수 있는 공감과 비공감 수도 24시간 기준 50개로 제한했다. 만약 이를 취소하더라도 댓글 수에 포함한다. 지금까지는 공감이나 비공감 수에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아왔다.
네이버는 이용자들이 관심을 두고 있는 댓글 정렬 방식과 관련해서도 개선안을 논의하고 있다. 이르면 5월 중순 개선안을 발표하고 적용할 계획을 세웠다.
네이버는 "댓글 작성자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개인별 블라인드 기능을 강화하는 등에 관한 논의도 진행하고 있다"며 "궁극적으로는 모든 뉴스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마다 다른 환경에서 뉴스를 보는 구조를 만드는 데 더욱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애초 8월을 목표로 인터넷 뉴스 댓글과 관련한 정책 개선안을 준비하고 있었는데 최근 드루킹 파문이 불거지면서 이를 앞당겨 발표했다.
네이버가 이날 후속대책으로 댓글 수, 시간 등 구체적 개선안을 내놓은 것이지만 여전히 ‘반쪽짜리’ 대책에 불과하다는 비난이 쏟아진다.
네이버의 개선안은 여러 계정을 만들거나 아이디를 구입하면 여전히 많은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만큼 허술한 점이 많다는 비판을 받는다.
‘60초’라는 시간도 큰 의미가 없다는 말이 나온다. 댓글 작성에 사람이 아닌 매크로 프로그램 등이 활용되는 만큼 늘어난 간격으로 댓글을 작성하는 일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것이다.
드루킹이라는 필명을 사용한 김동원씨는 2천 개 넘는 아이디를 계속해서 바꿔가며 댓글을 달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아웃링크 방식이 개선안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도 한계로 꼽힌다.
아웃링크는 뉴스를 눌렀을 때 포털 안에서 기사를 띄우는 ‘인링크’ 방식이 아닌 곧바로 언론사 사이트로 넘어가는 방식을 말한다.
한국광고총연합회, 한국광고주협회, 한국광고학회 등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네이버가 발표한 개선안은 기대이하”라며 실검제도 폐지, 아웃링크 방식의 도입, 댓글 폐지, 포털법 제정 등을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이들은 국회에도 네이버, 카카오 등 주요 포털이 ‘아웃링크’ 방식을 채택해 달라는 내용의 개정안도 마련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서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