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열린 수소전기차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있는 수소차를 확산하기 위해 수소복합충전소를 구축하거나 수소차 충전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다양한 방안이 도입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신보라 자유한국당 의원은 30일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친환경시대, 이제는 수소전기차다’라는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는 민관 협력을 통해 수소충전소를 확대하는 등 수소전기차를 효과적으로 보급하고 확산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
신 의원은 “수소전기차는 배출가스가 없을 뿐만 아니라 공기 흡입과정에서 미세먼지를 정화하는 기능을 한다”며 “아직 수소전기차 보급이 더딘데 수소충전소 구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준범 울산대학교 교수는 ‘친환경시대, 수소전기차의 효과와 전망’이라는 발제에서 수소차가 2018년 준양산체제에 진입하고 2020년까지 10만 대, 2030년에는 200만 대가 보급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 교수는 수소차가 분당 최대 5천 리터의 공기를 흡입해 정화한다며 가정용 공기청정기를 상회하는 성능이라고 파악했다. 이를 통해 미세먼지뿐 아니라 질소·황산화물을 99% 이상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바라봤다.
김 교수는 인프라 구축 비용면에서 전기차보다 수소차가 유리하다고 말했다. 750억 원을 들여 수소충전소 28기를 설치하면 수소차 100만 대를 운영할 수 있는데 전기차는 같은 비용으로 1500대의 급속충전기를 구축해 20만 대를 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종률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수소차 보급을 위해 핵심 기술력을 확보하고 수소충전소를 확충하는 일을 과제로 꼽았다. 또한 수소차와 수소연료에 세제 혜택을 주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해 시장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장봉재 한국수소산업협회 회장은 주유소와 LPG충전소 등 기존 인프라를 활용해 수소충전소 보급을 촉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장 회장은 주유소와 LPG충전소에 수소충전설비를 추가해 복합충전소로 만들면 부지 문제가 해결되고 구축 비용과 기간을 개선할 수 있다고 봤다. 중소·중견기업 중심으로 운영하도록 하면 국가 정책에도 부합할 것으로 파악했다.
김재경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수소충전소 운영사업자와 수소차 이용자들 양쪽이 만족할 수 있도록 정부가 한시적으로 충전용 수소 가격을 보전해주는 충전보조금 제도 도입을 제안했다.
김 위원은 “수소차 충전보조금을 도입하면 운영사업자는 운영 손실을 보전하고 이용자는 저렴한 충전요금을 부담해 동시에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