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산자원부가 주력산업과 신산업,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 수도권과 지방이 함께 성장하고 발전하는 혁신정책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산업혁신과 기업혁신, 지역혁신 등 3대 분야 혁신을 주요 내용으로 한 산업정책 방향을 보고했다.
정부는 기존 산업구조가 특정 산업과 기업, 지역을 중심으로 쏠려 있어 혁신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봤다. 과감하게 정책을 재설계해 산업에서 일자리, 일자리에서 소득으로 이어지는 성장의 톱니바퀴를 재가동하는 데 산업정책의 초점을 맞췄다.
산업혁신은 주력산업을 고도화하고 신산업을 창출한다는 전략을 마련했다.
4차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5대 신산업 선도 프로젝트에 착수한다. 5대 신산업은 전기·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 가전, 에너지신산업, 바이오·헬스, 반도체·디스플레이다.
2020년까지 고속도로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하게 하고 2022년 전기차 35만 대를 보급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연계한 사물인터넷 가전 기술을 개발하고 가전과 건설·통신·자동차·의료 등을 연결한 융합플랫폼을 구축한다.
에너지분야는 태양광과 풍력 등 분산형 발전을 확대해 에너지신산업을 창출한다. 첨단 전력인프라를 구축하고 분산전원 연관 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으로 신약 및 의료기기·서비스 개발에도 나선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분야는 후발국과 격차를 5년 이상 확보해 세계 1위 지위를 굳힌다. 적시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차세대 메모리, 파워반도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 차세대 기술확보를 병행해 추진한다.
기업혁신은 중견기업을 새로운 성장 주체로 육성하기 위해 매출 1조 원 이상 중견기업을 80개 육성한다는 중견기업 비전 2280을 마련했다. 중견기업 맞춤형 수출·연구개발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고 업종별 상생협력을 위해 협의체도 꾸린다.
지역혁신은 수도권으로 역량과 자원의 쏠림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혁신도시 중심으로 국가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세제와 보조금. 개발특례 등 인센티브를 제공해 거점기업을 유치하고 산학연 네트워크로 혁신기반을 구축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정부는 2022년까지 3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1분기까지 업종별 및 기능별로 세부 이행방안을 마련해 실질적 성과를 내는 데 힘을 쏟기로 했다.
조선 가전 바이오 로봇 반도체 철강 화학 섬유 자동차 등 분야별로 혁신성장 이행방안 수립도 추진한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