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부산, 세종 등 일부 지역에서 집값의 상승은 주택의 수급상황과 무관하게 투자수요가 유입됐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변세일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11일 ‘지역별 주택수급 진단과 정책과제’라는 보고서를 내고 “주택수급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서울시와 부산시 등에서 주택의 매매가격이 평균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며 “투자수요가 유입돼 가격상승폭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고 파악했다.
|
|
|
▲ 서울시와 부산시의 집값상승은 투기수요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
변 연구원은 연차별 주택수요(제2차 주거종합계획), 주택공급물량 추정치(인허가 뒤 준공기간 고려), 재고주택수 등을 활용해 전국의 주택수급 상황을 파악했다.
서울시와 부산시, 인천시, 광주시 등은 2016~2018년에 주택의 수급이 균형을 이루는 지역으로 분석됐다. 주택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지역에는 대구시와 울산시, 경기도, 전라북도 등이 포함됐고 주택공급이 수요를 큰 폭으로 앞서는 지역으로는 세종시와 제주시, 경상북도, 경상남도 등이 꼽혔다.
주택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지역으로는 대전시가 유일했다.
하지만 주택의 수급상황과 큰 관련없이 일부 지역의 주택가격은 이상과열현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6월을 기준으로 한 주택의 매매가격 상승률은 세종시가 1.67%로 전국에서 1위를 차지했다. 주택공급이 수요를 앞서는데도 불구하고 집값 상승률이 전국에서 제일 높았다. 서울시(0.66%)와 부산시(0.38%)가 뒤를 이었다.
변 연구원은 “주택매매가격의 상승률로 시장과열 위험성을 판단한 결과 전국 평균 상승률(0.21%)보다 높은 세종시와 서울시, 부산시 등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서울시와 인천시, 경기도 등 수도권 진 지역을 비롯한 부산시와 광주시, 대전시 등의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를 놓고 봐도 이들 지역의 부동산시장에 심리적인 과열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역경제 여건과 개발호재, 지역별 수급상황에 따라 주택시장의 차별화가 나타나고 있는 만큼 국토교통부가 이를 잘 진단해 지역맞춤형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변 연구원은 주문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