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민과경제  경제정책

6월 소비자물가 1.9% 상승, 가뭄 탓에 과일과 채소 가격 상승

김현정 기자 hyunjung@businesspost.co.kr 2017-07-04 11:45:04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채소와 과일 가격이 가뭄 때문에 오르면서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6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2.67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 상승했다.

  6월 소비자물가 1.9% 상승, 가뭄 탓에 과일과 채소 가격 상승  
▲ 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6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2.67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 상승했다.<뉴시스>
소비자물가는 1월 4년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뒤 2% 안팎의 상승률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들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 2.0%, 2월 1.9%, 3월 2.2%, 4월 1.9%, 5월 2.0%이다.

가뭄으로 신선식품의 가격이 치솟았다.

신선식품지수는 4월과 5월에 5% 내외 상승률을 보였는데 지난달 10.5% 올랐다.

신선채소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올랐고 신선과일은 21.4% 뛰었다.

우영제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가뭄의 영향이 예상했던 수준만큼 있었다”면서 “제철과일인 수박과 참외의 재배면적이 줄어든 영향도 있었다”고 말했다.

농축산물 가격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6% 올랐다.

달걀(69.3%)의 가격이 조류인플루엔자(AI)의 영향으로 상승세를 이어갔고 오징어(62.6%), 감자(35.6%) 등의 가격도 많이 올랐다.

석유류의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 올랐는데 최근 들어 증가폭이 둔화되고 있다. 석유류 가격상승률은 2월 13.3%, 3월 14.4%, 4월 11.7%, 5월 8.9%로 집계됐다.

자동차용 액화석유가스(LPG)(10.6%), 도시가스(10.1%)는 상승폭이 컸지만 휘발유(1.6%), 경유(2.2%) 등은 크게 오르지 않았다.

우 과장은 “최근 국제유가가 조정 국면에 들어가면서 석유류의 가격은 지난해에 비해 올랐지만 상승폭은 줄었다”고 말했다.

서비스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 상승했다.

집세와 공공서비스, 개인서비스가 각각 1.8%와 1.0%, 2.3% 올랐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

최신기사

비트코인 시세 하락에도 '고래' 투자자 저가매수 지속, "강세장 복귀 가능"
하나증권 "디오 영업망 개편 및 구조조정 효과 발생, 구조적 성장을 위한 정상화 단계"
[조원씨앤아이] 이재명 지지율 52.3%, TK는 '긍정' 서울·PK는 '부정'이 더 높아
팔란티어 주가 '지나친 고평가' 분석, "타임머신 발명한 수준의 프리미엄"
LG전자 가전구독 모델 B2B로 확장, 상업용 스탠드에어컨 23평형 월 8만원대
안랩 블록체인 자회사, 간편결제진흥원·오픈에셋과 스테이블코인 사업 협력
[조원씨앤아이] 트럼프 '비호감' 58% vs. '호감' 23%, 보수층은 '호감' 44%
테슬라 로보택시 구글과 아마존에 '우위' 평가, "사업가치 9천억 달러" 분석
[조원씨앤아이] 국힘 당대표 적합도, 국힘 지지층에서 장동혁 35% vs. 김문수 33%
샤오미 "전기차 2027년 유럽 출시", 투자자 기대감에 주가 삼성전자 대비 고평가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