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월별 국가별 선박수주량 순위에서 또 다시 일본에 밀렸다.
지난해에 한 차례를 제외하고는 한국이 앞섰으나 올해 들어서 벌써 세 번째 일본에 뒤쳐졌다.
10일 국제 해운조선시황 분석기관인 클락슨에 따르면 9월 국가별 선박수주량은 한국이 42만1천528CGT로시장점유율 20.7%를 기록하며 중국 92만2천800CGT(45.3%), 일본 55만1천850CGT(27.1%)에 이어 3위로 떨어졌다. CGT는 표준화물선환산톤수다.
한국이 월별 수주실적에서 일본에 밀린 것은 4월과 6월에 이어 올해 들어 세 번째다. 한국은 지난해에 1월에만 일본에게 밀렸다.
일본은 지난해만 해도 한국과 수주경쟁에서 한참 밀렸다. 일본의 지난해 수주선박 규모는 한국(299억8천400만 달러)의 6분의 1 수준인 52억300만 달러에 그쳤다.
그러나 일본은 올해 들어 월별 국가별 선박수주량에서 세 번째로 한국을 제치면서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일본은 엔화약세에 힘입어 한국 및 중국 조선회사들과 선가격차를 좁히고 있다.
일본 조선업계는 합병과 공동출자 등을 통해 대형화작업을 마무리했다. 일본에서 올해 초 IHI마린유나이티드와 유니버설조선이 합병돼 세계 4위 규모의 재팬마린유나이티드가 설립됐고 미쓰비시중공업과 이마바리조선이 합병돼 MI LNG가 설립됐다.
일본정부가 일본 조선회사들을 지원하면서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일본정부는 침체기에 조선산업 육성을 위해 선가의 최대 80%까지 선박금융을 이자율 1%에 제공했다.
중국은 국영조선소를 통폐합해 8곳으로 줄여 대형화와 기술력 집결을 시도했다. 이에 따라 중국은 한국과 규모면에서 대결할 수 있게 됐고 LNG선, 대형 컨테이너선 등 한국 조선회사가 주력하고 있는 고부가가치선 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게 됐다.
중국과 일본 조선회사들이 경쟁력을 키워나가면서 한국 조선회사들도 이에 대비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조선협회 관계자는 “최근 비용절감과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국과 일본의 움직임은 국내 대형 조선회사를 목표로 한 전략적 대응”이라며 “그동안 한국이 보유했던 대형선시장에서 경쟁력 우위요소들이 위협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윤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