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사를 비롯한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파업에 들어갔다. 일부 초·중·고등학교 급식이 중단됐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은 제주·경상북도·울산을 제외한 시·도 14곳에서 교육청과 임금단체교섭협상이 결렬되자 29일부터 이틀 동안 파업에 들어갔다.
|
|
|
▲ 학교 급식조리원 등 학교비정규직노조가 파업을 진행하면서 급식이 중단된 29일 서울의 한 초등학교 인근 편의점에서 학생들이 점심을 먹고 있다. <뉴시스> |
모든 지역의 교육청이 임금단체교섭협상에서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의 요구사항 가운데 기본급을 3.5% 인상하는 방안만 받아들이고 근속수당 지급 등 다른 요구사항은 수용하지 않은 데 따른 것이다.
교육부에 따르면 급식조리원과 교무보조원 등 학교에서 일하는 비정규직 노동자 38만 명 가운데 전국 학교의 3150곳(16.7%)에서 일하는 1만4266명이 이번 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파악된다.
파업에 참여한 조합원들은 29일 각 지역의 교육청 앞에서 집회를 열어 근속수당 인상과 임금차별 해결 등을 요구했다. 30일에는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비정규직 철폐를 요구하는 단체집회를 열기로 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서울지부의 조합원 2천여 명은 이날 서울시교육청 앞 집회에서 “학교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무기계약직이라는 이유로 고용노동부에서 정규직으로 분류하는 반면 교육부는 비정규직이라며 차별하고 있다”며 “정규직의 절반 수준인 임금과 차별적인 처우를 더 이상 방관할 수 없다”고 밝혔다.
박금자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위원장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무기계약직이지만 계약서만 안 쓸 뿐 ‘무기한 비정규직’으로서 차별과 무시를 받는다”며 “파업까지 가기 전에 임금교섭이 원만하게 진행되기를 바랐는데도 교육부와 교육청의 무성의한 태도 때문에 매년 이런 일이 반복되는 것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는 5월22일~6월23일 진행된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쟁의행위를 찬반투표에 붙인 결과 조합원 5만8천 명의 89%가 쟁의에 찬성하자 이번 파업을 결정했다.
전국의 초·중·고등학교(특수학교 포함) 1935곳이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의 파업으로 29일 급식이 중단됐다. 이 학교들은 학생들에게 도시락이나 빵·우유 등을 제공했고 일부 학교는 수업시간을 줄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