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4차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해 한국형 4차산업혁명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김병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4일 더불어민주당 신성장특별위원회, 산업연구원, 성공경제연구소와 함께 ‘4차산업혁명과 국가 신성장 정책 대토론회’를 열었다.
|
|
|
▲ 김병관 더불어민주당 의원. |
김 의원은 “4차산업혁명시대는 단순히 정보통신기술(ICT)을 바탕으로 한 산업기술분야의 변화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정치, 사회, 문화에도 혁명적인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발제자로 나선 이장우 경북대 교수는 한국형 4차산업혁명 모델을 만들자고 제안했다.
이 교수는 “4차산업혁명시대를 맞아 정부정책의 일대변화가 필요하다”며 “특정부처가 4차산업혁명을 이끌어 가는 것이 아니라 부처 간 협업을 위한 ‘4차산업혁명신성장위원회’를 두고 협업을 중심으로 정책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래먹거리를 창출하고 인재·고용 중심의 산업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정책적 대안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방안으로 △신성장을 위한 생태계 구축 △핵심 플레이어 육성 △신성장 먹거리 발굴 △국가 연구개발(R&D) 시스템 재구축 △한국형 4차 산업혁명 모델인 ‘팀코리아’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정은미 산업연구원 산업경쟁력연구본부장도 “산업수명주기 단축, 산업간 경계 와해 등 비즈니스모델과 산업구조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며 “우리나라 산업의 현황에 맞는 전략과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4차산업혁명은 국가별, 산업별, 기업별로 시차를 갖고 진행되겠지만 기존 산업혁명에 비해 속도나 범위가 급격할 것으로 보여 선제대응이 필요하다”며 “장기 비전을 공유하고 주요 이해 관계자가 협력해 한국 특성에 맞는 전략과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김용수 미래창조과학부 차관과 이인호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등 정부 관계자들도 참석했다.
김 차관은 “기술혁신시대를 헤쳐 나가기 위해서는 변화의 동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김대중·노무현 정부가 우리나라를 정보통신기술 강국으로 만든 경험을 바탕으로 정책역량을 집중한다면 4차산업혁명은 위기가 아닌 새 도약의 발판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 치관은 “최근 다녀온 OECD 통상장관 회의에서 가장 큰 의제가 4차산업혁명으로 개발도상국의 일자리 감소였다”며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기술연구가 산업적 성과로 이어져 소득주도 경제성장, 일자리창출 등을 이루는 유연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