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지주사 설립을 통한 지배구조개편에 나섰지만 롯데 금융계열사를 놓고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계열사를 매각하는 방안과 일본롯데에 넘기는 방안, 단순금융지주사로 전환하는 방안 등이 있지만 어떤 것도 쉽게 선택하기 어렵다.
|
|
|
▲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
정대로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27일 “ 롯데그룹은 지주사 전환을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잔존하는 18개 순환출자 고리 해소가 필요하다”며 “금산분리 원칙에 따라 롯데캐피탈과 롯데카드 등 롯데지주가 보유한 금융계열사 지분도 2년의 유예기간에 처리해야 한다”고 바라봤다.
롯데그룹은 롯데제과와 롯데쇼핑, 롯데칠성음료, 롯데푸드 등 4개 회사를 투자부문과 사업부문으로 각각 인적분할하고 롯데제과 투자회사(가칭)를 중심으로 각 투자부문을 합병해 지주회사체제로 전환한다.
이 과정에서 롯데지주는 롯데카드 지분 93.78%와 롯데캐피탈 지분 25.64%를 보유하게 된다. 현재 롯데쇼핑이 롯데카드 지분 93.78%와 롯데캐피탈 지분 22.36%를 소유하고 있고 롯데칠성음료가 롯데캐피탈 지분 1.52%, 롯데푸드가 롯데캐피탈 지분 1.76%를 보유하고 있다.
공정거래법상 일반지주회사가 금융회사를 자회사나 손자회사로 두는 것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지주사 전환 과정에서 금융계열사를 떼어내야 하지만 쉽지 않아 보인다.
호텔롯데도 롯데카드와 롯데캐피탈, 롯데손해보험, 롯데피에스넷 등 금융계열사 4곳의 지분을 각각 보유하고 있다.
중간금융지주회사제도가 도입되면 롯데카드를 중간금융지주회사로 삼아 지주회사-롯데카드-다른 금융계열사 형태로 지분구조를 정리할 수 있다.
다만 야당이 난색을 표시하고 있는 데다 대선 결과에 따라 제도도입이 물 건너 갈 수도 있어 중간금융지주회사 도입만을 기대하기 어렵다.
신 회장이 금융계열사를 놓고 선택할 수 있는 방안은 크게 3가지로 꼽힌다. 금융계열사를 매각하는 방안과 일본롯데에 넘기는 방안, 단순금융지주사로 전환하는 방안 등이다.
신 회장은 LG그룹이 2003년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LG증권과 LG카드등 금융계열사를 매각한 것처럼 롯데금융계열사를 매각할 수 있다.
다만 롯데그룹이 LG그룹과는 달리 유통업에 사업의 바탕을 둔만큼 그룹 차원의 유동성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금융계열사를 보유해 얻는 이점이 다른 업종보다 뚜렷한 셈이다.
롯데그룹 금융계열사의 자산규모는 2015년 말 기준 25조511억 원으로 그룹 전체자산(124조6770억 원)의 20%가 넘는다.
신 회장은 일본롯데측에 금융계열사 지분을 넘기는 방안을 선택할 수도 있다. 금산분리를 포함한 지주사 관련 규제는 국내 회사에만 적용되기 때문이다.
두산그룹은 지주사로 전환한 뒤 두산중공업과 두산인프라코어가 보유하고 있던 두산캐피탈 지분 각 14.28%를 해외계열사인 두산중공업아메리카와 두산인프라코어아메리카로 넘겼다.
신 회장이 이 방안을 선택할 경우 지주사 전환을 통해 한국롯데에서 일본의 영향력을 떨어뜨리고 신 회장 중심으로 지배구조를 개편하려는 시도가 무색해질 수 있다는 점이 부담이 될 수 있다.
신 회장이 롯데카드를 중심으로 금융계열사를 단순금융지주사로 전환할 가능성도 있다.
문제는 신 회장은 롯데카드 지분 0.27%만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신 회장이 롯데지주회사 지분을 확보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로 꼽히는 만큼 롯데카드 등의 지분을 확보할 자금여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신 회장이 현재 진행 중인 재판에서 실형을 받을 경우 보험업법상 대주주 자격을 가질 수 없다는 점도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신 회장은 지난해 10월 횡령·배임혐의로 불구속기소돼 1심 재판을 받고 있으며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면세점 인허가와 관련해 70억 원의 뇌물을 제공한 혐의(뇌물공여)로 최근 추가로 기소됐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