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가 중국에서 수입차 제재에 더해 사드보복까지 받는 이중고에 빠질 수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이 현대기아차를 상대로 사드보복에 나설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롯데그룹과 국방부가 지난달 28일 사드부지 제공계약을 맺은 것을 계기로 중국이 현대기아차를 포함해 국내 기업에 사드보복을 노골화할 수 있다.
|
|
|
▲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
중국 환구시보의 영문판인 글로벌타임스는 1일 “중국은 삼성과 현대차에 가장 큰 시장이며 이 기업들에 제재를 가한다면 복잡한 결과를 낳을 것”이라며 “그러나 한중 갈등이 가속하고 있어 이 기업들도 조만간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현대기아차는 이미 중국 정부의 수입차 제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사드보복까지 더해질 수 경우 상황이 악화할 수 있다.
중국은 자동차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수입차에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고 있다.
중국경제망에 따르면 중국이 지난해 리콜명령을 내린 차량 가운데 65%가 일본차, 23%가 미국차, 8%가 독일차였다. 중국차 비중은 1.2%에 불과했다.
현대기아차도 중국에서 수입차 제재의 일환으로 리콜명령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CCTV는 지난해 12월18일 중국당국의 발표를 인용해 중국에서 판매 중인 차량에서 브레이크패드 결함이 발견됐다고 20분 동안 방영했다. 이런 차량을 판매한 완성차회사는 모두 해외 완성차회사였는데 이 가운데 현대차와 기아차도 포함됐다.
현대차가 최근 한국산 배터리 인증 문제로 쏘나타 플러그인하이브리드 모델의 출시일정을 1년 정도 미루자 중국이 이미 현대차에 사드보복을 하고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현대차 관계자는 “한국산 배터리 인증 취소를 사드보복으로 보는 것은 확대해석한 결과이며 아직 사드 관련 제재가 이뤄진 것은 아니다”며 “한중 양국이 사드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는 만큼 향후 상황을 예의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기아차는 한중 외교관계가 악화하는 가운데 현지 생산체제를 구축하는 데 속도를 내고 있다.
현대차는 올해 8월부터 중국 5공장인 충징공장을 가동한다. 충칭공장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면 현대기아차의 중국 생산능력은 270만 대로 늘어난다. 현대차는 또 중국의 배터리 장벽을 돌아가기 위해 중국 배터리회사와 협력해 현지에서 친환경차를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드문제가 국가 간 외교 문제인 만큼 정부 차원에서 사드 역풍을 막는 데 힘써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중국이 수입차 제재의 강도를 높이자 각국 정부는 대응에 나서고 있다.
오토모티브뉴스차이나에 따르면 앙켈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2월27일 리커창 중국 총리에게 전화통화를 해 중국의 친환경차 정책을 놓고 논의했다.
메르켈 총리는 중국정부가 수입차를 차별하지 않는다면 중국의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는 정책을 지지한다는 뜻을 리커창 총리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