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빈대인 BNK금융지주 대표이사 회장이 해양금융 특화 전략을 전면에 내세우며 동남권 금융 주도권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의 ‘해양수도 부산’ 기조와 맞물려 BNK금융지주도 조직개편 등을 단행하며 대응에 나섰다.
▲ 빈대인 BNK금융지주 대표이사 회장이 정책 기조에 발맞춰 해양금융을 강조하는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
17일 금융권 안팎에 따르면 이번 BNK금융그룹 하반기 조직개편의 핵심은 해양금융으로 평가된다. 해양금융 중심으로 관련 조직이 신설되거나 기존 조직이 개편됐기 때문이다.
BNK금융지주는 지주 전략기획부에 ‘해양도시전략팀’을 신설하고, 지역특화사업팀도 ‘동남성장지원팀’으로 개편했다.
은행 계열사인 부산은행은 기존 ‘투자금융그룹’을 ‘해양 및 기업금융(IB)그룹’으로 바꾸고 산하에 ‘해양금융부’를 신설했다. 경남은행 역시 해양금융 확대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직개편은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과 동남권 산업 강화 등 정부 정책과 맞물린 전략적 대응으로 평가된다.
이재명 정부는 ‘해양수도 부산’, ‘부울경 메가시티’ 등을 지역 핵심 공약으로 내걸고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 대안으로 ‘동남투자은행(가칭)’ 설립도 추진하고 있다.
BNK금융은 조직개편 발표와 함께 ”다양한 분야의 내외부 전문가 그룹으로 구성된 ‘BNK미래위원회(가칭)’를 신설해 정부의 정책방향에 BNK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실질적 안건을 적극 발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빈 회장은 지주에 신설한 해양도시전략팀 중심으로 은행 계열사에 ‘해양수산부 이전 대응 태스크포스(TFT)’를 신속히 구성할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빈 회장과 BNK금융은 7일 열린 그룹 하반기 업무보고회에서도 ‘해양도시와 금융의 역할’을 주제로 그룹 경영진과 계열사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외부 전문가 강연을 진행하며 그룹 차원 방향성을 공유했다.
▲ BNK금융지주는 그룹 전반에서 해양금융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사진은 7일 하반기 업무보고회에서 그룹사 최고경영자(CEO) 및 임원진이 해양금융 관련 강연을 듣는 모습. < BNK금융지주 > |
또 BNK금융은 그룹 차원에서 해양 및 조선기업 대상 금융지원 확대, 컨설팅 투자 융합형 해양금융모델 연구, 보증연계 서비스 등 해양금융 전문 금융그룹의 역할 강화 방안도 적극 모색하고 있다.
이는 지역경제와 실적이 밀접하게 연결된 지역금융지주로서 BNK금융의 특성을 고려한 전략으로 평가된다.
동남권 경제가 살아나면 BNK금융 순이익도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또 지역기업과 산업 구조를 잘 이해하고 있는 만큼 향후 정책 추진 과정에서도 BNK금융이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
동남권 해양금융 주도권을 확보하면 금융권에서 BNK금융지주의 위상도 한층 높아질 수 있다.
빈 회장 개인으로서도 해양금융 강화와 BNK금융의 성장은 의미가 있다.
빈 회장은 2023년 BNK금융지주 회장에 오른 뒤 꾸준히 실적 개선과 지역 주력사업 지원, ‘지역에 기반을 둔 글로벌 금융그룹으로의 도약’ 등을 강조했기 때문이다.
BNK금융 관계자는 “그룹에서 이전부터 해양금융은 강조하며 준비해 왔다”며 “다만 이번에 정부 정책과 맞물리며 그 방향성을 따라간다는 차원에서 (해양금융을) 보다 확대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