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표그룹이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구축해 산업 안전 관리와 재해 발생 시 위기관리 능력을 높인다.
삼표그룹은 25일 서울 바비엥2 교육센터에서 ‘2025년 임원 안전 세션’을 열고 계열사 임직원들의 안전 의식을 제고하고 작업환경을 개선할 목적으로 맞춤형 교육을 진행했다고 29일 밝혔다.
▲ 삼표그룹이 25일 서울 바비엥2 교육센터에서 ‘2025년 임원 안전 세션’을 열었다. <삼표그룹> |
주력 사업인 시멘트를 중심으로 레미콘, 골재, 철도, 콘크리트, 환경자원, 건설소재 등 7개 부문과 관련된 실질적 위험 요소를 분석하고 안전 대응 방안 이해도를 높이는데 중점을 뒀다고 삼표그룹은 설명했다.
시멘트 부문에서는 ‘작업자 스스로 지키는 안전문화’를 강조했다. 현장의 작업자가 직접 ‘위험성 평가’와 ‘안전작업표준서’를 작성해 자발적으로 안전하게 행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레미콘 부문은 안전관리책임자를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는 경영진 안전관찰 활동(VFL)을 확대한다.
골재 부문에서는 작업 전 진행하는 ‘안전점검회의(TBM)’로 구성원 역량 강화에 나선다. 작업방법과 위험요인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맞춤 동영상을 제작해 서로 확인하고 논의를 진행한다.
철도 부문은 근로자가 작업 시작 전 불티 비산 방지조치 및 유압유 누유 상태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점검표를 도식화한 ‘안전점검 5포인트’를 도입했다.
레미콘 부문은 안전점검 항목을 객관화 및 수치화해 안전의식 수준을 분석하고 약점을 보완한다. 안전 작업 절차 체크리스트를 활용해 객관적 수치를 평가하게 된다.
삼표그룹에 따르면 자재 입고부터 생산, 보수, 출하까지 사업장별 측정이 이뤄짐에 따라 위험요인 예측이 기대된다.
이외에도 환경자원 부문은 생산직 중심의 안전워크샵을 실시하고 건설소재 부문은 안전 감시단을 운영해 현장 수시 점검 및 안전업무 지원으로 공사현장 관리에 집중한다.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을 접목한 안전 시스템 도입도 앞두고 있다. 삼표그룹은 공장별 맞춤형 관제 시스템을 구축해 작업장의 위험 요소와 안전 상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안전 관리를 극대화한다.
삼표그룹 관계자는 “부문별 산업현장의 위험성 평가 분석을 강화하면서 질적 보완 중심의 단계적 전환을 해나가고 있다”며 “임직원들과 긴밀한 소통과 철저한 교차 점검을 이어가며 자율적 안전 실천 문화를 정착시키는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