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일본, 중국 기업의 상대국 기업과의 협력의향 설문조사 결과. <한국경제인연합회> |
[비즈니스포스트] 일본과 중국 기업들이 우선 협력 대상국으로 모두 한국 기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가 한국․일본․중국 정상회의(5월26일~27일)를 앞두고, 3국의 매출액 1천 대 제조기업(2022년 기준, 한국 100개사, 일본 107개사, 중국 111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한․일․중 경제협력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20일 밝혔다.
한․일․중 대기업들을 대상으로 경제현안과 관련해 공동 설문조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0점 척도를 기준으로 상대국 기업과의 협력 의향을 조사한 결과, 일본 기업은 중국 기업(평균 4.7점)보다 한국 기업(5.2점)을, 중국 기업 역시 일본 기업(6.5점)보다 한국 기업(7.1점)과의 협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기업은 양국 기업의 협력의향이 비슷한 수준(일본 기업 6.3점, 중국 기업 6.1점)으로 조사됐다.
3국의 관계 개선 필요성에 관해서는 한국 기업 75.0%, 일본 기업 46.7%, 중국 기업 45.0% 순으로 한국 기업들이 가장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 개선이 필요한 주요 이유로 한국 기업은 기술 협력 등을 통한 경제적 이익 확대(49.3%)와 공급망 안정(26.7%)을 꼽았다.
반면 중국과 일본 기업은 동북아 안보 및 평화(일본 40.0%, 중국 44.0%)가 기술 협력 등을 통한 경제적 이익 확대(일본 32.0%, 중국 30.0%)보다 응답 비중이 높았다.
상대국 기업과 협력을 희망하는 분야를 묻는 질문에서 일본 기업은 반도체 및 첨단소재 분야(25.5%)를 1순위로 택했으며, 2순위는 원자력·수소·신재생 에너지 분야(17.0%)였다.
한국과 중국 기업은 안정적 전력공급 및 기후변화와 관련된 원자력·수소·신재생에너지(한국 25.2%, 중국 23.9%)를 1순위로 응답했고, 반도체 및 첨단소재 분야(한국 22.3%, 중국 19.8%)가 뒤를 이었다.
그 외 전기차 배터리(평균 12.7%, 이하 ‘평균’), AI·양자컴퓨터(12.6%), 인프라·기계(11.7%), 5G 등 통신기술(11.2%) 순으로 나타났다.
세계적 추세인 3고(고금리·고환율·고물가)에 따른 원자재 가격 불안정은 한국과 일본 기업들의 가장 큰 현안(한국 38.0%, 일본 35.0%)으로 지적됐다. 중국 기업들은 국내경기 침체로 인한 경제 성장동력 약화주3)를 최대 경제현안(42.3%)으로 꼽았다.
또 한국과 중국 기업은 ‣세계 경제 저성장에 따른 수요감소를 수출리스크 1순위(한국 34.0%, 중국 29.7%)라고 걱정했으며, 일본 기업은 공급망 불안정(30.8%, 1순위) 때문에 수출이 불투명하다고 대답했다.
추가로 경기회복 가능 시점을 알아본 결과, 한·일에서는 이미 회복했다(한국 25.0%, 일본 57.0%)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중국은 2025년 하반기(24.3%)에 회복될 것으로 예상한다는 비중이 가장 높았다.
3국 기업 모두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로 인한 노동인력 감소에 대해 심각하다고 인식했으며(한국 81.0%, 일본 77.6%, 중국 62.2%), 5~10년 뒤 핵심 노동인력이 부족(한국 34.0%, 일본 45.8%, 중국 38.7%)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3국 기업들은 출산 및 육아 지원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육아휴직 제도(한국 54.0%, 일본 51.7%, 중국 33.1%), 탄력·유연근무제 시행(한국 25.3%, 일본 25.9%, 중국 25.0%) 및 출산·육아 지원금 지급(한국 14.7%, 일본 11.9%, 중국 27.0%)을 꼽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한·일·중은 주요 산업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많은 기업들을 보유한 국가들로 관계 개선시 기술 협력 등을 통한 시너지 효과가 매우 클 것”이라며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3국 경제계의 협력이 강화되어 동북아 번영의 토대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