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정치·사회  사회

생산가능인구 향후 20년간 1천만 명 줄어들 전망, 고령인구 2050년 1891만 명으로 최대

신재희 기자 JaeheeShin@businesspost.co.kr 2024-05-06 15:44:38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국내 생산가능인구 수가 20년동안 약 1천만 명가량 줄어들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는 6일 발간한 ‘2024년 인구보고서’에서 한국 인구는 2023년 5171만 명에서 2065년 3969만 명으로, 생산가능인구는 2023년 3657만 명에서 2044년 2717만 명으로 각각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생산가능인구 향후 20년간 1천만 명 줄어들 전망, 고령인구 2050년 1891만 명으로 최대
▲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이 6일 발간한 2024 인구보고서.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은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소비 활력을 감소시켜 내수시장의 붕괴를 일으키고 노인 부양부담을 키워 경제성장 속도가 둔화되는 등 장기 저성장 추세가 굳어지겠다”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2031년 중위연령(국내 인구를 나이순대로 정렬했을 때 중앙에 위치한 사람의 나이)을 50.3세로 예상했다. 국민의 절반이 50세 이상이라는 의미다.

초등학교에 취학하는 7세 아동 수는 2023년 약 43만 명에서 10년 뒤인 2033년 22만 명으로 절반 수준으로 준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50년 1891만 명으로 고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 인구의 40% 규모다.

2060년에는 사망자 수가 74만6천명으로 출생아 15만6천 명의 4.8배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80세 이상 초고령자 비중은 2023년 전체 인구의 4.4%(229만 명)에서 2061년에는 전체의 20.3%(849만명)으로 늘어난다.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장은 "인구감소로 인한 재앙은 대한민국의 존립이 달린 사안이다"며 "인구회복의 적기가 지나가면 우리 사회가 다시 안정적인 상태로 돌아가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

최신기사

흥국증권 "CJ 목표주가 상향, K컬처의 선도적 기업으로 부각"
한국투자 "엘앤씨바이오 스킨부스터 리투오 판매 호조, 연간 가이던스 상향" 
상상인증권 "대원제약 목표주가 하향, 자회사 부진으로 영업이익 적자전환"
KB증권 "음식료 산업 비중 확대, 2026년 K푸드에 쏠리는 관심 더 커질 것"
한국투자 "오리온 10월 중국 매출 성장 지속, 연말 실적 변동성 확대 전망"
비트코인 1억3761만 원대 상승, 스탠다드차타드 "매도세 끝나고 연말 랠리 시작 전망"
김상범 이수화학·이수건설 적자로 촉발된 재무위기 진화 안간힘, 신사업 성장해 그나마 '..
이수그룹 김상범 아들 김세민 지주사 사장 승진 뒤 영향력 확대, 지분 승계는 언제 어떻게
김상범 개인회사 이수엑사컴으로 이수그룹 지배하고 부 축적, 내부거래 끊었는데 지주사와 ..
금호아시아나그룹 쇠락했지만, 창업주 박인천 한국재계 핵심가문과 촘촘한 혼맥 만들어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