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우리금융지주 이사회가 젊어지고 다양해진다.
우리금융 이사회는 이를 통해 민영화 당시 받아들인 과점주주 입김이 다소 옅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여전히 외풍에서 자유로운 단단한 지배구조 구축까지는 갈 길이 남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 우리금융지주가 3월 주총을 통해 사외이사 수를 늘리고 여성 사외이사를 늘리며 과감한 이사회 변화를 꾀한다. |
4일 우리금융지주에 따르면 22일 주주총회를 통해 신임 사외이사 후보 2명 선임과 나머지 기존 사외이사 5명의 재선임 안건을 처리한다.
우리금융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는 지난 주 신임 사외이사 후보로 박선영 동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와 이은주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를 추천했다.
후보 추천안이 주주총회를 통과하면 우리금융 사외이사 수는 기존 6명에서 7명으로 늘고 이사회 구성원 가운데 여성의 수도 1명에서 2명으로 늘어난다.
우리금융은 박 교수와 이 교수가 합류하면 이사회 연령도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박선영 교수는 1982년생으로 5대 금융(KB·신한·하나·우리·농협) 가운데 가장 나이가 어리다. 이은주 교수도 1972년생으로 상대적으로 어린 편에 속한다.
우리금융에서 임기를 이어가는 사외이사 5명은 모두 1950년대 혹은 1960년대 초반 태어났다.
우리금융이 사외이사진의 과감한 변화를 준비해 왔다는 점은 지배구조 및 보수체계 연차 보고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우리금융의 사외이사 후보군 100명 가운데 여성은 41명으로 2019년 우리금융 출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라왔다.
우리금융이 이사회 수 증원, 여성 이사 확대, 세대교체 등의 측면에서 이사진에 과감한 변화를 꾀한 셈인데 이에 따라 이사회 내에서도 다양한 목소리가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사회 정원이 늘어나고 우리금융이 추천한 사외이사 비율이 커진 만큼 우리금융 자체의 목소리도 더욱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우리금융 사외이사는 모두 6명인데 민영화 과정에 참여한 증권사와 보험사, 사모펀드 등 민간 과점주주가 1명씩 추천한 사외이사가 5명을 구성하고 있다.
정찬형 이사장(한투증권)과 윤인섭 이사(푸본생명), 윤수영 이사(키움증권), 신요환 이사(유진PE), 지성배 이사(IMM PE) 등 과점주주 5곳이 추천한 5명에 과점주주 추천을 받지 않은 인사는 송수영 변호사가 유일하다.
과점주주 체제는 우리금융의 민영화의 하나의 ‘상징’처럼 여겨진다.
금융위원회는 2016년 우리은행 지분 매각을 발표하며 다양한 성격의 과점주주가 ‘기업가치 높이기’란 공통의 목적을 지니고 집단지성과 경험으로 ‘합리적 경영’을 추구하는 새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당시 금융위원회 위원장이던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은 “새 금융사 지배구조 모델 성공 여부는 과점주주 체제에 맡겨져 있다”며 “과점주주를 통해 ‘금융시너지 창출’과 ‘견제와 균형’을 기대할 수 있다”고 바라봤다.
▲ 왼쪽부터 우리금융 신임 사외이사 후보인 박선영 동국대 교수와 이은주 서울대 교수. <우리금융그룹> |
다만 우리금융 과점주주 체제는 출범 이후 기대만큼 장점을 발휘하지는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표적으로는 우리금융 이사회는 성 다양성 측면에서 한 발 뒤쳐졌다. 우리금융 이사회에 여성 사외이사가 진입한 것은 2022년 송수연 변호사가 최초다.
또한 우리금융 이사회는
임종룡 회장 선임 당시에도 금융당국 입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의구심 어린 시선을 받기도 했다.
과점주주가 현재도 금융사업을 하고 있는 만큼 과점주주 추천 이사들이 당국 의견에 반대되는 결정을 내리기는 쉽지 않다는 것이다.
우리금융은 결국 이번 이사회 증원과 변화에도 외풍에서 자유로운 단단한 지배구조 정착에는 아직 갈 길이 남아있다고 볼 수 있는 셈이다.
다만 여전히 향후 변화 가능성은 남아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금융당국은 금융지주에 3월 안으로 ‘지배구조 모범관행’ 이행계획을 제출할 것을 요구했는데 이사회 정원 확대도 주요 과제로 다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12월 지배구조 모범관행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국내 금융지주 이사회 정원이 평균 7~9명으로 글로벌 주요 은행 대비 매우 적다고 지적했다.
금감원이 당시 대표사례로 든 글로벌 주요 은행(시티 13명, 뱅크오브아메리카 14명, 웰스파고 13명) 이사진은 10명을 넘긴다.
우리금융이 향후 사외이사 수를 지속해서 늘리는 방식으로 과점주주 역할을 줄여나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는 셈이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