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인터넷·게임·콘텐츠

'뮤' 부활 가능성 입증한 웹젠, 김태영 올해 서브컬처 게임으로 불황 넘나

조충희 기자 choongbiz@businesspost.co.kr 2024-02-14 15:55:10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웹젠의 대표 게임 '뮤'의 후속 신작 게임이 흥행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김태영 패표는 작년 실적 악화에서 벗어날 힘을 얻게 됐다.

올해 김 대표는 불황에 강한 '서브컬처 장르' 게임을 여럿 준비해 불황 파고를 넘고 뮤 신작 프로젝트가 결실을 맺을 때까지 시간도 벌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뮤' 부활 가능성 입증한 웹젠, 김태영 올해 서브컬처 게임으로 불황 넘나
▲ 김태영 웹젠 대표이사가 올해 서브컬처 게임으로 불황을 이겨낼지 주목된다.

14일 시장조사업체 모바일 인덱스에 따르면 웹젠이 뮤 지적재산(IP)을 활용해 만든 신작 모바일게임 '뮤 모나크'는 출시 4개월째 국내 모바일게임 매출 순위 8위를 지키고 있다.

이 게임은 과거 뮤 시리즈를 즐겼던 게임 팬들을 다시 불러모으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웹젠은 2001년 출시한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뮤 온라인'이 한국과 중국, 대만에서 흥행하면서 한때 시가총액이 엔씨소프트를 넘은 적도 있다. 게임은 당시 '날개갑옷'으로 대표되는 차별화한 디자인 스타일과 '타격감'을 부각시킨 음향효과로 큰 인기를 끌었다.

강석오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뮤 모나크는 뮤 IP 원작 감성을 그대로 담아내 게임 수요층이 한동안 견고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예측했다.

뮤 모나크 인기에 힘입어 웹젠은 작년 4분기 깜짝 실적을 기록했다. 4분기 매출 706억 원, 영업이익 182억 원을 내 전년 4분기보다 매출은 63.8%, 영업이익은 3.4% 늘었다.

이에 따라 김 대표가 준비하는 뮤 IP 부활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도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뮤' 부활 가능성 입증한 웹젠, 김태영 올해 서브컬처 게임으로 불황 넘나
▲ 뮤 모나크 공식 이미지.

현재 웹젠 산하 스튜디오 웹젠레드스타가 뮤 IP를 활용한 차기작을 준비하고 있다. 또 원작 뮤의 초창기 개발진이 추진하는 뮤 IP 기반 프로젝트가 구상 단계에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게임 출시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김 대표는 시간을 벌기 위해 실적 징검다리 역할을 해 줄 게임도 준비해뒀다.

회사는 지난해 말과 올해 걸쳐 다수의 서브컬처 장르 게임을 출시할 계획을 세웠다. 서브컬처 장르란 애니메이션 풍 게임을 가리키는 일본 게임업계 용어다. 미소녀 캐릭터를 수집하고, 육성하는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장르다. 서브컬처 게임은 불황을 타지 않는다고 알려져 국내 여러 게임 기업들이 이 장르에 도전하고 있다.

김 대표는 우선 일본 유명 IP를 사용한 게임을 배급해 운영노하우를 쌓은 뒤, 올해 자체 개발한 서브컬처 게임을 출시해 실적을 끌어올릴 것으로 보인다.
 
'뮤' 부활 가능성 입증한 웹젠, 김태영 올해 서브컬처 게임으로 불황 넘나
▲ 테르비스 공식 이미지.

지난해 웹젠은 '라그나 돌'과 '어둠의 실력자가 되고 싶어서'라는 2종의 일본 서브컬처 게임을 국내 출시해 운영하기 시작했다.

이 게임들은 폭발적 이용자 반응을 이끌어내진 못했지만 원작 IP 팬들을 중심으로 안정적 이용자층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 연구원은 “웹젠은 지난해부터 ‘라그나 돌‘이나 ‘어둠의 실력자가 되고 싶어서‘와 같은 카툰풍 그래픽 게임들에 도전하고 있는데, 이 경험들이 자체 개발작 성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올해는 산하 개발사인 웹젠 노바가 개발하는 서브컬처 게임 '테르비스'가 이용자를 만난다. 회사는 이 게임을 서브컬처 게임의 본거지인 일본에서 출시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조충희 기자

최신기사

서울고등법원, 이재명 공직선거법 사건 파기환송심 첫 재판 6월18일로 연기
[여론조사꽃] 대선주자 선호도, 이재명 52.3% 한덕수 19.6% 김문수 12.2%
[여론조사꽃] 6·3 조기 대선 '정권교체' 62.0% vs '정권연장' 32.7%
트럼프 정부 재생에너지 축소에 데이터센터 확장 난항, AI 경쟁력 약화 전망도
[여론조사꽃] 대선 양자대결 15K 조사, 이재명 54.2% vs 김문수 23.8%
[여론조사꽃] 대선 양자대결 15K 조사, 이재명 54.4% vs 한덕수 30.8%
[김재섭의 뒤집어보기] `해킹' SK텔레콤 충성 가입자들 "1등 사업자라 다를 줄 알았..
비트코인 시세 상승 가능성 높아져, 투자자 차익실현 대신 장기보유 추세 뚜렷
SK텔레콤 "유심보호서비스 고객 100% 가입, 유심 교체 107만명"
안랩 1분기 영업이익 1871% 증가, 솔루션 판매 확대에 자회사 실적 개선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