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센터와 대한상공회의소는 8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에서 ‘자발적 탄소시장 글로벌 동향 및 국내 활성화 방향’ 세미나를 열었다. <비즈니스포스트> |
[비즈니스포스트] 국내 자발적 탄소시장이 세계의 흐름에 뒤쳐져 있는 만큼 정부의 제도 정비, 기업들의 인식 개선 등 작업이 빠르게 추진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다른 국가와 양자 협력을 통해 탄소배출권을 확보하고 있는 일본, 기업을 위한 저탄소 인증제를 운영하고 있는 호주 등 해외 벤치마크 사례도 소개됐다.
기후변화센터와 대한상공회의소는 8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에서 ‘자발적 탄소시장 글로벌 동향 및 국내 활성화 방향’ 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패널토론에서 참가자들은 한국의 자발적 탄소시장이 활성화되려면 다양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데 목소리를 모았다.
김소희 기후변화센터 사무총장은 “2021년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COP26)에서 탄소시장 관련해 중요한 규칙은 마련이 됐다”며 “하지만 국내에는 ESG 가이드라인 등이 마련돼 있지 않아 기업들에 동기 부여를 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자발적 탄소시장을 향한 기업 인식은 변하고 있는 것으로 진단됐다.
조영준 지속가능경영원 원장은 ”자발적 탄소시장에서 ‘우리가 너무 늦었구나’라는 생각이 든다“면서도 ”이전까지 기업들은 자발적 탄소시장에 별 관심이 없었으나 이제는 비용이 아니라 기회 측면에서 바라보는 시선이 늘고 있다“고 바라봤다.
탄소시장을 통한 배출권 확보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편의적 수단으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는 비판도 나왔다.
오덕교 한국ESG기준원 선임위원은 “기업들이 탄소 흡수를 향한 인식을 개선할 필요도 있다”며 “배출권 확보로만 탄소중립을 이루려는 기업도 있는데 우선 배출량 감축을 먼저 한 뒤 나머지 부분을 배출권 확보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싱가포르, 일본, 호주 등 국가의 자발적 탄소시장 동향이 소개되기도 했다.
발제를 맡은 타카하시 켄타로 일본 국제환경전략연구소 부국장은 자발적 탄소시장 활성화를 위한 일본 정부의 노력을 소개하면서 “일본은 현재 25개 국가와 양자 협력을 통해 탄소배출권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국가 사이 양자 협력에 민간 기업도 참여해 200여 개 이상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호주는 정부가 직접 ‘클라이밋 액티브(Climate Active)’라는 저탄소 인증제도를 운영하며 기업의 탄소중립 달성을 독려하고 있다.
대니얼 쉬디 호주 기후변화·에너지·환경·수자원부 국장은 “클라이밋 액티브 인증은 탄소중립을 이루려는 중소기업에 특히 중요한 동기를 제공해 준다”며 “인증 건수는 2019년에 96건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662곳에 이를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