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상태 수사 속전속결, 이명박 정부 비리 정조준하나]() |
|
▲ 남상태 대우조선해양 사장. |
검찰이 남상태 전 대우조선해양 사장에 대한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은 소환조사 하루 만에 긴급체포에 이어 구속영장까지 청구했다. 남 전 사장은 이명박 정부에서 연임 로비를 한 의혹을 받고 있어 구속상태에서 이런 의혹에 대한 수사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대우조선해양 수사의 칼끝이 이명박 정부를 향하고 있는 모양새다. 특히 검찰은 이명박 정부 시절 특혜를 받은 것으로 지목된 롯데그룹 수사도 진행하고 있다.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은 28일 남상태 전 대우조선해양 사장에 대해 배임수재 혐의를 적용해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한다고 밝혔다.
특별수사단은 27일 남 전 사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를 벌이다가 이날 새벽 긴급체포했다. 여기에 구속영장청구까지 신속하게 진행하며 수사가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이뤄지고 있다. 검찰은 검사 2명과 수사관 10여 명을 수사팀에 충원해 수사인력도 보강했다.
검찰 관계자는 “남 전 사장이 증거물들을 제3의 장소에 숨기고 관련자에 허위 진술을 부탁하는 등 증거인멸의 정황이 포착됐다”고 설명했다. 또 남 전 사장이 심리적으로 불안한 모습을 보인 점도 구속영장 청구의 이유가 된 것으로 보인다.
남 전 사장은 대우조선해양에 재임하면서 측근들에게 일감을 몰아주며 회사에 피해를 끼친 혐의를 받고 있다. 또 검찰은 남 전 사장이 그 대가로 수십억 원의 금품을 수수한 정황도 확인했다.
특별히 주목받는 것은 남 전 사장이 조성한 비자금의 용처다. 남 전 사장은 연임을 위한 로비 의혹을 받았기 때문에 비자금이 이에 사용됐을 가능성이 크다.
이 때문에 검찰의 남 전 사장 수사는 대우조선해양을 겨냥했다기보다 남 전 사장과 관계를 맺은 것으로 의심되는 정관계 고위층을 노리는 것이라는 해석이 많다.
남 전 사장은 2006년 노무현 정부 때 대우조선해양 사장에 처음 올랐으나 2009년 이명박 정부에서 연임에 성공했다. 정권이 교체된 후에 남 전 사장이 연임한 것은 매우 이례적으로 여겨졌다.
이 때문에 남 전 사장이 연임 로비를 벌였다는 의혹은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남 전 사장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처남인 김재정씨와 중학교 시절 친구다.
강기정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10년 남 전 사장이 이 전 대통령의 부인인 김윤옥씨에게 금품을 전달하고 연임에 성공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밖에 이 전 대통령의 친구인 천신일 세중나모 회장도 로비대상으로 거명됐다.
검찰은 대표적인 친MB기업으로 꼽히는 롯데그룹도 수사하고 있다. 검찰은 롯데면세점 로비의혹, 오너일가 비자금 조성의혹 등을 전방위로 조사하고 있다.
롯데그룹은 이명박 정부에서 기업규모가 2배나 커져 최대 수혜기업으로 꼽힌다. 특히 제2롯데월드 인허가, 부산 롯데월드부지 용도변경, 맥주사업 진출 등 특혜를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검찰은 현재 진행하고 있는 수사에 대한 확대해석을 경계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 수사흐름대로라면 과거 이명박 정부의 실세들이 수사선상에 이름을 올릴 가능성이 크다. 롯데그룹이든 대우조선해양이든 양쪽 모두 수사를 피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우조선해양 부실수사가 검찰의 기획 수사로만 흘러가는 데 대한 경계의 목소리도 있다. 대우조선해양 부실의 책임이 검찰수사에서 명확히 규명돼야 하는데 수사방향이 자칫 한쪽으로 쏠리면 정작 당초 수사 초점이 흐려질 수 있다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