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희 기자 JaeheeShin@businesspost.co.kr2022-11-02 17:12:02
확대축소
공유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영상 콘텐츠 제작에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한국방송학회는 2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미디어교육원에서 ‘'국가전략산업' 영상 콘텐츠의 국가 경제적 효과와 육성전략‘ 세미나를 열었다.
▲ 한국방송학회가 2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미디어교육원에서 영상 콘텐츠의 국가 경제적 효과와 육성전략 세미나를 열고 영상 콘텐츠 제작과 관련한 정부 지원을 촉구했다. <한국방송학회 유튜브 공식 계정>
이번 세미나는 영상콘텐츠업계에 필요한 지원책을 모색하기 위해 열렸다. 앞서 정부는 4대 신규 초격차 확보 분야인 콘텐츠산업을 선정한 바 있다.
변상규 호서대학교 문화영상학부 교수는 “우리나라 콘텐츠 경쟁력은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지만 제작 재원 부족이라는 만성적인 문제로 인해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 사업자들의 제작 하청기지로 편입될 위험이 있다”고 진단했다.
변 교수는 “국내 콘텐츠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며 “특히 제작비 조달을 위한 미디어사업자의 투자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변 교수는 2022년부터 2027년까지 영상콘텐츠 산업의 직·간접적인 국민경제 파급효과로 △생산유발 1102조4889억 원 △부가가치유발 381조4983억 원 △고용유발 539만5306명을 예상했다.
그는 “영상 콘텐츠 산업은 국민들에게 제공하는 효용과 방송영화산업을 통한 경제적 파급효과, 콘텐츠 수출로 한류 유발, 소비재 수출 유발 및 관광객 유입 효과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주력 성장 동력이 될 것이다”고 설명했다.
지원 형태로는 세제 및 기금의 중층 지원안이 제시됐다.
김정현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는 “투자 활성화를 위한 일반지원은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등 기업규모별 공제율 차이가 없는 비차등적 세제지원이 효율적이다”며 “반면 중소제작자의 육성과 동반성장 다양성 보호를 위한 특별지원은 기금을 통한 지원이 효율적이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영상콘텐츠 분야는 흥행에 대한 사전 예측이 쉽지 않고 전형적으로 큰 위험이 수반되는 특성을 지녀 세제지원을 통한 재투자는 중소기업 보다 대기업에서 투자 유인 효과가 크다”고 덧붙였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