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우조선해양 비리로 검찰소환 앞둔 남상태는 누구?]() |
|
▲ 남상태 전 대우조선해양 사장. |
검찰의 수사망이 남상태 전 대우조선해양 사장을 향하고 있다.
남 전 사장은 이명박 정부시절 여러 비리의혹에 휩싸였지만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16일 검찰의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에 따르면 남 전 사장은 대우조선해양의 분식회계와 비리의혹에 관련해 소환조사를 앞두고 있다.
검찰은 남 전 사장의 대학 동창이자 대우조선해양의 물류운송협력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정모씨에 대해 15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검찰에 따르면 남 전 사장은 대우조선해양 사장으로 재직하던 2007년 정씨로부터 수억 원을 받고 정씨가 운영하는 회사에 10년 동안 독점 사업권을 주는 수의계약을 맺도록 해줬다.
남 전 사장은 또 정씨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다른 회사를 소개받아 그 회사의 지분을 확보한 뒤 대우조선해양과 운송계약을 맺도록 하고 이익이 나자 매년 수억 원의 배당을 받은 혐의도 받고 있다.
남 전 사장은 또 다른 측근 이모씨의 회사에도 대우조선해양의 일감을 몰아주고 특혜를 줬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남 전 사장의 개인비리에 대한 보강조사 이후 남 전 사장을 소환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 전 사장은 2006년부터 2012년까지 대우조선해양에서 대표이사 사장을 지냈다.
남 전 사장은 1950년 대구 출생으로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그는 네번째 직장으로 1979년 대우조선해양에 입사했고 2006년 정성립 사장의 후임으로 대우조선해양 사장에 올랐다.
남 전 사장은 입사 이후 재무분야에서만 근무하며 재무전문가로 인정받았다. 남 전 사장은 특히 1999년 대우조선해양이 소액주주들과 소송을 벌일 때 이를 해결하면서 인정을 받았다.
당시 대우그룹이 워크아웃에 들어가면서 대우중공업은 대우조선해양과 대우종합기계(현 두산인프라코어)로 분할됐는데 소액주주들은 이에 반발해 소송을 냈다. 남 전 사장은 소액주주들을 일일이 찾아다니면서 소송을 무마하기 위해 위해 노력했다.
남 전 사장은 2009년 연임되면서 일약 주목받는 경영자가 됐다. 당시 이명박 정부는 노무현 정부 시절 임명된 사람들을 모두 내쳤는데 남 전 사장은 연임에 성공해 그 배경을 두고 소문이 무성했다.
남 전 사장이 연임에 성공한 표면적인 이유는 실적이었다. 2005년 대우조선해양의 매출은 4조 원대였지만 2008년에는 11조 원으로 3배 가까이 성장했다. 남 전 사장은 2007년 금탑산업훈장을 받기도 했다.
남 전 사장이 정치권에 로비를 통해 연임에 성공했다는 의혹도 꾸준히 제기됐다.
강기정 민주당 의원은 2010년 7월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검찰이 이명박 대통령의 친구인 천신일 세중나모 회장이 남상태 대우조선해양 사장 유임을 위해 로비한 의혹을 수사하다가 외압으로 중단됐다”고 말했다.
강기정 의원은 2010년 11월 국회 대정부질문 과정에서도 “남 전 사장이 영부인인 김윤옥 여사 측에 금품을 제공해 연임에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남 전 사장과 당사자들은 이런 의혹을 전면 부인했고 검찰의 수사결과도 무혐의로 나왔다.
그러나 이를 놓고 당시 검찰수사의 신뢰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시선도 존재했다. 검찰이 최근 조사하고 있는 남 전 사장의 비리혐의도 상당수가 당시 이미 불거졌던 의혹들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승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