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김경욱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이 올해 여름 성수기 항공여객 증가에 기대가 클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인천공항의 이용객 수, 국제선 노선 편수, 공항 내 상업시설 가동 등은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수준과는 차이가 크다. 하지만 여름 성수기의 국제항공 수요 급등이 현실화하면 올해는 실적 만회를 노려볼 만하다.
18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4월 들어 15일까지 공항 이용객 수는 29만4743명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4월 9만486명과 비교하면 3배가 넘을 정도로 이용객 수가 늘었다.
4월1일부터 백신접종을 완료한 입국자의 자가격리 면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국제선 여객수요가 분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직 국제선 항공편 운항이 정상화되지 않았다는 점까지 고려하면 항공편 운항 회복에 맞춰 공항 이용객 수 회복 추이는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연말까지 국제선 항공의 운항 편수를 코로나19 확산 전인 2019년 대비 50%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도 내놓고 있다. 이를테면 '절반의 정상화'가 목표인 셈이다.
다만 인천국제공항은 절반의 정상화까지도 가야 할 길이 멀어 보인다.
2019년에는 하루 평균 공항 이용객 수가 20만 명을 넘어설 정도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4월 공항 이용객 수 수준은 코로나19 이전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공항 이용객 수의 절대적 수준이 아직 코로나19 이전에는 한참 미치지 못하는 만큼 공항 내 상업시설들의 정상화 역시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15일 기준으로 인천국제공항 내 상업시설 446곳 가운데 여전히 193곳(43%)이 휴점하고 있다.
특히 공항 이용객 수에 따라 매출에 크게 영향을 받는 식음료 판매 상업시설은 210곳 가운데 절반이 넘는 130곳이 휴업 중이다.
공항 내 상업시설을 도심지 내 상업시설들과는 달리 운영 재개에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한다.
공항 내 영업이라는 지리적 특성상 근로자를 구하는 것 자체도 어려운 데다 더 많은 임금을 지불해야 하는 만큼 공항 내 상업시설들로서는 매출이 일정 수준 이상 올라오지 않는 이상 선뜻 영업 재개를 결정하기 어렵다.
김 사장으로서는 공항 내 상업시설의 정상화가 지연되면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실적 회복도 지연되는 상황인 만큼 조속한 정상화에는 조바심이 날 수밖에 없다.
2019년 기준으로 인천국제공항공사의 공항 내 시설 임대료 등 비항공 관련 수입의 비중은 66%에 이르기 때문이다.
현재 국토부 등과 협의를 통해 인천국제공항공사는 한국공항공사와 함께 공항 내 상업시설에 임대료 감면조치를 이어오고 있기도 하다.
공항 내 상업시설 임대료 감면조치는 애초 지난해 말까지로 예정됐지만 지난해 12월에 올해 6월까지 6개월 더 연장하기로 결정됐다.
김 사장으로서는 공항 내 상업시설 운영이 재개되기 전에는 임대료 감면조치의 해제를 기대하기 어렵다.
국토부가 올해 여름 성수기 수요 증가에 대비해 올해 5월부터 국제선 증편에 가속도를 붙일 태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은 김 사장에 긍정적이다.
국토부 계획을 보면 국제선 정기편은 올해 5월에는 주 520회, 6월에는 주 620회로 증편된 뒤 7월 이후에는 매달 주 300편 정도씩 증편이 예정돼 있다.
인천국제공항의 시간당 운항 편수(항공 슬롯) 역시 현재 시간당 20대에서 7월부터는 시간당 30대로 늘어난다.
이는 항공편이 지금 수준의 대략 두 배 가까이 늘어나는 셈이다. 그러면 공항 내 상업시설도 더 많은 곳이 문을 열게 될 것이다.
현재 항공 수요의 회복 속도에 비해 항공편 회복 속도가 더뎌 항공권 가격이 폭등하는 등 국제선 항공여객 수요의 회복이 정체현상을 보이는 상황인 만큼 국제선 정기노선 편수의 급증은 그대로 항공 수요 회복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양지환 대신증권 연구원은 "국제선 여객 탑승률(L/F)은 올해 1분기 40.4%, 2분기 51.6%, 3분기 71.4%, 4분기 81% 등으로 회복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국제선 여객 확대에 따른 공항 내 상업시설 정상화가 본궤도에 오르면 김 사장으로서는 임대료 감면조치 해제 등을 통한 공사의 실적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 관계자는 “아직은 임대료 감면조치의 연장 여부를 놓고 구체적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는 않다”며 “항공 수요의 회복 추이에 따라 국토교통부에서 지침이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