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녕 기자 nyeong0116@businesspost.co.kr2022-02-17 15:10:12
확대축소
공유하기
최근 중국에서 친환경차 제조 업체들이 가격을 연이어 인상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가격이 비싸져 소비자의 진입문턱이 더 높아지면 친환경차가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는 시선이 나온다.
▲ 테슬라 Model Y 2022년 1월 중국 월간 판매량 2위.
17일 중국 매체 시나자동차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 전기차·배터리 제조업체 BYD가 가격을 조정한다고 밝혔다.
2월1일부터 BYD의 모델별 가격이 최소 1천 위안(19만 원) 최고 7천 위안(132만) 가량 인상됐다.
BYD는 성명을 통해 가격 인상의 주요 원인을 정부 보조금 축소와 원자재 가격 폭등이라고 설명했다.
같은 이유로 가격 인상을 결정한 것은 BYD가 처음이 아니다.
중국 전기차 업체인 니오, 샤오펑은 물론 미국의 테슬라도 중국시장 가격을 올렸고 폭스바겐 역시 중국에서 판매하는 전기차 가격을 인상했다. 대부분 수 천 위안에서 수 만 위안 올렸다.
전기차 모델의 스트림별 가격 뿐만 아니라 중요한 옵션의 가격도 모두 인상했다.
가격을 유지하겠다고 결정한 기업도 있지만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는 장담할 수 없다.
정부 보조금 축소와 원자재 가격 폭등, 반도체 공급 부족 등 리스크로 인해 친환경차 업계가 큰 원가 부담을 안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2021년 12월31일 중국 재정부를 포함한 4곳 관련 부처는 ‘2022년 친환경차 재정 보조금 정책 관련 통지’를 발표했다.
정부는 2022년 친환경차 보조금을 2021년보다 30% 줄이기로 했다. 특히 30만 위안(5673만 원) 이하 가격대 자동차 보조금은 1대당 5400위안(102만 원)이 줄고 하이브리드 자동차 보조금은 가격대와 모델 상관없이 2040위안(39만 원) 줄어 들었다.
중국 정부는 당초 친환경차 시장을 키우기 위해 기준에 맞춰 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해 왔고 기업은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받은 보조금 만큼 최종소비 판매가격을 내려 팔았다.
지금은 보조금이 줄어들어 판매가격을 올려야 하는 상황인 데다 원자재 가격까지 폭등했다.
▲ BYD 친(秦)PLUS DM-i.
코발트의 경우 삼원계리튬 배터리 음극재료의 핵심 원자재로 쓰이는데 1년 사이 1배 이상 올랐다. 코발트 외에 리튬, 철광석 등 원자재도 올랐기 때문에 배터리 가격 역시 1톤당 4만1060달러(4917만 원)로 2021년 1월보다 5배 넘게 급등했다. 배터리는 전기차의 제조 원가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배터리 가격이 크게 오르자 여러 친환경차 기업들은 주행거리가 짧아도 가격은 더 저렴한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선호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수요가 많아지자 2021년 리튬인산철 배터리 가격까지 크게 올랐다.
그 동안 중국의 친환경차 시장은 정부의 전폭적 지원에 힘입어 빨간불 없이 고속도로를 달리며 성장했다.
2021년 중국에서 친환경차는 연간 350만 대 팔렸다. 2020년 보다 배로 늘었고 시장점유율은 13.4%까지 올랐다.
하지만 가격이 비싸지면 소비자의 접근성은 다시 낮아질 수밖에 없다. 게다가 휘발유 자동차가 아직까지 자동차 시장을 이끌고 있는 상황이다.
친환경차의 자연발화와 같은 약점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어 판매가격까지 비싸진다면 시장이 이전처럼 급속 성장하기 힘들 수 있다는 시선이 나온다.
다만 장기적 시각에서 보면 친환경차 수요는 계속 늘 수밖에 없다. 전기차의 경우 전기 충전 값이 일반 휘발유 자동차의 주유 가격보다 저렴하고 수리점검 비용도 낮다.
또 중국이라는 시장 특성도 친환경차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상하이시를 예로 들면 일반 휘발유 자동차의 번호판을 신청하려면 경매를 통해 받아야 하는데 경매 경쟁이 치열한 것은 물론 낙찰 받아도 번호판 하나에 10만 위안(1891만 원)에 이른다. 반면 친환경차 번호판은 어떠한 제한도 없이 신청할 수 있다.
중국매체 시나자동차는 “친환경차 시장은 앞으로 맹목적으로 많은 비용을 들여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더 긴 주행거리를 목표로 쫓아가는 것 보다 원가를 통제하는 것을 기반으로 안정된 기술을 더 살리되 약점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봤다. [비즈니스포스트 노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