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준택 수협중앙회장이 공적자금의 조기상환 이후 '금융지주'를 수협중앙회의 미래 청사진으로 삼고 있다.
임 회장은 수협중앙회의 수익성을 끌어올리기 위해 증권, 자산운용, 신용정보회사 등으로 사업영역을 넓히려고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금융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 임준택 수협중앙회장.
15일 수협중앙회는 공적자금 조기상환 이후 수협중앙회의 발전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공적자금 조기상환 관련 컨설팅’ 용역 입찰을 추진하고 있다.
수협중앙회는 이번 용역을 통해 공적자금 조기상환에 따라 발생하는 법률, 세무, 회계 문제를 다양하게 검토한다.
이번 용역에서 시선을 끄는 부분은 비은행업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이를 위해 금융지주회사의 설립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다.
금융지주회사와 관련된 용역 내용을 살펴보면 △공적자금 상환 이후 지주사 전환 필요성 검토 △다른 금융지주회사의 전환 사례 검토 △금융지주회사 전환 장단점 분석 △지주사 전환을 위한 정부 관계기관 대응 방안 지원 △지주사 설립 가정을 통한 시나리오 분석 △금융지주 전환 계획 일정표 마련 등이다.
수협중앙회는 우리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KB국민은행 등 주요 은행들이 2000년대 초반 금융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해 수익성을 꾸준히 개선해 오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금융지주회사 제도의 도입으로 금융지주 설립이 확산하던 2001년 말 금융지주들의 총자산 규모는 156조 원 수준이었는데 2021년 총자산 규모는 3천87조 원까지 확대됐다.
임 회장은 수협중앙회의 장기적 발전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예대마진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벗어나 증권, 캐피탈, 자산운용 등 비은행업으로 사업군을 다각화해야 한다고 바라본다.
이를 위해 중장기적으로 금융지주회사 전환을 통한 종합금융그룹으로 발돋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금융지주회사는 다양한 업종의 자회사를 결합해서 규모의 경제를 구현하고 다른 업종의 자회사 사이의 연계 영업, 공동 마케팅 등 범위의 경제도 실현해 금융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임 회장은 수협 독립성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공적자금 문제를 해결하는 대로 금융지주회사로의 전환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수협중앙회는 2001년 경영난을 타개하기 위해 정부로부터 1조1581억 원의 공적자금을 지원받아 2017년부터 2028년까지 이를 분할 상환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모두 3400억 원을 갚았다.
수협중앙회는 공적자금 지원으로 예금보험공사와 경영정상화를 위한 이행약정을 맺었는데 해마다 이행과정과 실적을 점검받고 있다.
이에 임 회장은 올해 수협의 최우선 해결과제로 공적자금의 조기상환을 내세우며 8100억 원을 한 번에 상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수협중앙회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금융지주회사로의 전환은 검토하고 있는 사안 가운데 하나로 아직 정해진 것은 없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