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주성 기자 noxket@businesspost.co.kr2022-02-02 16:40:38
확대축소
공유하기
한국농어촌공사의 신임 사장 후보군 윤곽이 잡혔다.
다만 최종 후보군이 모두 현 정부와 가까운 이들이어서 차기 대통령선거를 앞둔 가운데 임기 막판 무리하게 인사를 추진하는 것 아니냐는 시선도 나온다.
▲ 한국농어촌공사 본사 전경.
2일 농어촌공사 안팎의 말을 종합하면 올해 초 11명으로 이뤄진 임원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사장 공모에 지원한 6명을 대상으로 1월24일 면접을 실시한 뒤 최종 후보군까지 확정하면서 공모절차에 속도를 내고 있다.
김인식 농어촌공사 사장의 임기가 3월2일 만료되는 데다 3월에는 대통령선거도 예정돼 있어 현정부가 농어촌공사 사장 선임을 서둘러 마무리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농어촌공사 관계자는 “임원추천위원회 면접을 통해 적격자를 주무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에 추천했다”며 “신임 사장 선임기간이 얼마나 소요될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임원추천위원회는 이병호 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 오현석 전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사무국장, 조익문 전 농어촌공사 상임감사 등 3인이 농어촌공사 신임 사장 최종 후보군으로 선정했으며 이를 주무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인사검증을 거친 뒤 농림축산식품부가 청와대에 보고하면 최종적으로 사장 선임이 이뤄지게 된다.
농어촌공사 사장 지원이 마무리된 뒤부터 능력과 경험 등을 고려할 때 이들 3명의 후보가 유력하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 전 사장은 서울대학교 농대 출신으로 농식품업계 전문가로 꼽힌다.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오 전 사무국장은 농어촌지역개발 등을 연구한 지역농촌경제 전문가로 통한다. 조 전 상임감사는 농어촌공사 감사를 지내면서 내부 업무에 익숙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면 준정부기관과 공기업 등 공공기관이 국정 과제 및 주요 업무 등을 수행하게 되는 만큼 새 정부가 들어서면 대규모 공공기관 인사가 이뤄지는 사례가 많았다.
김정우 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2019년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노무현 정부에서 이명박 정부로 정권이 바뀔 때 공공기관 178곳 가운데 95곳의 기관장이 교체됐다. 박근혜 정부에서 문재인 정부로 정권이 교체될 때도 공공기관 309곳 가운데 115곳의 기관장이 자리를 떠났다.
이에 따라 차기 정부의 인사권을 고려해 현정부가 임기 말 인사를 자제해왔을 뿐만 아니라 지원하는 인사도 많지 않았다. 현 정부가 인사권을 적극 행사하면 차기 정부가 해당 기관장과 불편한 관계를 이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대표적 공기업인 한국철도공사는 임기 3년을 채운 사장이 극히 드물다. 노무현·이명박·박근혜 정부 시절 임명됐던 사장이 모두 정권 교체와 함께 사퇴하는 등 대부분이 임기를 절반 정도밖에 채우지 못했다.
반면 차기 대통령선거가 임박한 가운데 농어촌공사가 사장 선임 절차에 나선 데다 3명의 최종 후보군 모두 현정부와 인연을 맺고 있어 현정부가 무리하게 인사를 추진하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온다.
이 전 사장은 현정부 출범 뒤 첫 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을 역임했고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후보에 꾸준히 오르는 등 문재인 정부 농정 철학과 긴밀하게 연결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오 전 사무총장은 문 대통령의 국정과제를 관리하는 정책기획위원회 산하 농정개혁TF팀에서 활동했고 이후 대통령 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사무국장을 역임하면서 인연을 이어왔다.
조 전 감사는 지난 대통령선거 당시 문 대통령을 지지하고 광주·전남지역 선거운동을 이끌면서 여권과 네트워크를 쌓았다. 농어촌공사 감사로 임명될 때도 친여 인사라는 시선이 나왔다.
최근 환경부 블랙리스트 사건 등을 계기로 차기 정부에서 무리하게 공공기관 수장을 교체하는 사례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면서 현 정부 임기 말 공공기관장 인사를 추진하는 데 부담이 줄었다는 시선도 나온다.
지난달 27일 대법원은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등의 혐의를 받는 김은경 전 환경부 장관에게 징역 2년, 신미숙 전 청와대 균형인사비서관에게 징역 1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2018년 12월 관련 의혹이 제기된 지 3년1개월 만에 판결이 나온 것이다.
김 전 장관과 신 전 비서관은 2017~2018년 박근혜 정부 때 임명된 환경부 산하 공공기관 임원들에게 사표 제출을 강요해 받아내고 공석인 자리에 청와대나 환경부가 낙점한 인물들을 앉히기 위해 개입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비즈니스포스트 은주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