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병현 기자 naforce@businesspost.co.kr2021-12-09 15:51:21
확대축소
공유하기
한국은행이 가계대출 수요가 여전히 커 증가세 둔화가 지속되기 어려울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한국은행은 9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향후 가계대출은 금융권의 강도 높은 증가세 관리, 계절적 비수기 등의 요인으로 당분간 현재의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나 2022년 이후에도 둔화 추세가 지속될지 여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 서울의 한 시중은행 창구 모습. <연합뉴스>
2022년부터 시행되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 가계부채 관리 강화 대책이 가계대출 억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대출수요가 여전히 크고 규제 영향이 작은 전세자금대출, 집단대출 등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최근 가계부채 상승률, 주택가격 오름세가 다소 완화되고 있으나 이런 추세의 지속성과 강도와 관련해서는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므로 금융 불균형 누적 위험을 계속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통화정책 기조 변화 가능성도 잠재적 금융 위험 요소로 꼽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를 조기 종료하는 방안을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캐나다, 뉴질랜드, 노르웨이 등도 자산매입 축소와 정책금리 인상 등을 시작했다. 영국 영란은행은 11월 통화정책 회의에서 수개월 안에 정책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고 예고했다.
한국은행은 “앞으로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각국의 경제 여건에 맞춰 진행되면서 우리나라 국내 금융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 등에 따라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질 상황을 대비해 관련 위험 요인을 주의 깊게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