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이 택배운임을 인상했지만 이 과정에서 택배노조가 처우 개선을 요구하고 있어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지기 쉽지 않은 데다 최근 대리점주의 죽음과 관련해 택배노조와 갈등을 겪고 있어 '노조 리스크'가 더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CJ대한통운의 올해 2분기 택배단가는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9.6% 올랐다. 3분기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5% 상승했다.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물류 수요가 크게 늘어남에 따라 CJ대한통운이 추진하고 있는 택배운임 인상은 2022년까지 무난하게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택배운임을 인상하는 과정에서 택배노조와 갈등은 더 깊어지고 있다.
전국택배노조는 CJ대한통운이 택배운임 인상분을 택배기사의 처우 개선에 쓰지 않고 이윤으로 들고가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택배기사 과로방지대책 사회적합의기구'는 6월 2차 합의에서 택배기사를 내년부터 분류작업에서 완전히 배제하고 분류인력 투입 및 택배기사의 고용·산재보험 가입을 위해 택배원가를 개당 170원 인상하기로 했다.
전국택배노조는 8월30일 기자회견을 열고 "CJ대한통운은 노동자들의 과로사를 막기 위해 택배산업 관련자들이 6개월 이상 토론을 거쳐 만든 사회적 합의를 부정했다"며 "170원으로 택배기사가 죽지 않고 일할 수 있도록 하랬더니 60%를 초과이익으로 들고간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이어 전국택배노조는 김포 장기대리점 점주의 죽음과 관련해 CJ대한통운에 해결책 마련을 요구하며 12일부터 무기한 단식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노조는 CJ대한통운이 점주 유족에게 집화대리점을 내주는 과정에서 김포 장기대리점의 물량을 모두 다른 집화대리점으로 옮겨 기존 장기대리점의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게 됐다며 CJ대한통운이 나서 이를 해결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더구나 중앙노동위원회가 6월 CJ대한통운을 택배노동자들의 실질적 사용자로 인정하는 취지의 판정을 내리면서 CJ대한통운은 택배노조와 직접 대화에 나서게 됐다.
이러한 중앙노동위원회의 판결을 두고 CJ대한통운이 택배노동자의 직접고용까지 이어져 비용부담이 늘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고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CJ대한통운이 단가를 인상하는 과정에서 근로환경 개선을 요구하는 노조 리스크가 확대됨에 따라 노동집약적 택배산업의 단점이 부각됐다”며 “CJ대한통운이 앞으로 기업가치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이커머스업계과 풀필먼트 협력 강화, 해외사업 재편을 통한 수익성 개선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바라봤다.
CJ대한통운은 추가적 수익성 개선방안으로 풀필먼트사업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네이버와 운영하고 있는 스마트 물류센터인 경기도 군포 풀필먼트센터에 디지털 트윈을 도입한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디지털트윈은 사람 또는 사물이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에 동일하게 구현되는 것으로 실시간으로 현실의 데이터를 수집해 가상세계와 연계하고 분석함으로써 현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물류센터 무인화에 도달하기 위한 앞선 단계로 꼽히기도 한다.
CJ대한통운은 네이버와 함께 경기도 군포뿐만 아니라 경기도 용인에도 냉장, 냉동 등 저온 제품에 특화된 콜드체인 풀필먼트센터를 열고 풀필먼트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군포와 용인 풀필먼트센터는 일반 택배와 달리 출고작업이 완료되면 택배기사를 기다리거나 서브터미널로 보낼 필요없이 1시간 거리에 있는 물류터미널인 곤지암메가허브로 바로 발송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CJ대한통운은 네이버와 협력해 기존 곤지암, 군포, 용인에 있는 풀필먼트센터에 이어 66만1157㎡(20만 평) 규모의 풀필먼트센터를 추가로 세우겠다는 계획을 내놓기도 했다.
새 풀필먼트센터에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각종 운영시스템과 인공지능(AI) 로봇, 무인운송로봇(AGV) 등 최첨단 물류기술이 도입된다.
강 대표는 CJ제일제당 대표이사 총괄부사장을 맡다 올해 CJ대한통운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는 CJ그룹에서 지주사와 주요 계열사 요직을 두루 거친 경영전략 전문가로 꼽힌다.
CJ제일제당 대표이사를 맡기 전에는 CJ프레시웨이 대표이사를 맡아 취임 1년 만에 강도 높은 사업 구조조정으로 영업이익이 3배 이상 늘어난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