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신배 포스코 이사회 산하 ESG(환경·사회·지배구조)위원회 위원장이 포스코의 안전·보건계획 수립과 이행 감시에서 무거운 과제를 안게 됐다.
정치권에서 사망사고가 잦았던 포스코의 산업안전 문제를 놓고 관심이 큰 만큼 포스코 사외이사인 김 위원장으로선 포스코의 산업재해대책 수립과 이행에서 최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을 감시해야 할 책임이 크다.
21일 포스코 안팎의 말을 종합하면 포스코는 최근 이사회에서 올해 포스코 안전·보건계획을 심의 의결했다.
최 회장이 취임한 2018년 7월 이후 포스코 이사회 중요 의결사항에 종합적 안전·보건계획이 올라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2019년 6월 광양제철소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한 뒤 같은 해 7월 포스코 이사회에서 이와 관련한 재해현황 및 대책안건을 심의 의결한 것이 1건 있었을 뿐이다.
이번에 의결된 안전보건안건은 신설된 ESG위원회에서 사전의를 거쳐 의결된 만큼 김 위원장으로서는 더욱 큰 책임을 안게 됐다.
최 회장의 기업시민 경영이념과 맞물릴 뿐 아니라 2기 경영체제의 주요 과제인 ESG사안과 관련해 김 위원장은 포스코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에 안건을 올리기 전에 먼저 검토하는 중책을 맡고 있다.
포스코는 올해 2월 이사회 산하 전문위원회인 ‘ESG위원회’를 출범시키면서 최 회장의 경영이념인 ‘기업시민’의 사회적 책임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ESG위원회는 김신배 포스코 사외이사를 위원장으로 장승화 사외이사와 유영숙 사외이사, 김학동 포스코 철강부문 대표이사 사장 등 모두 4명으로 구성됐다.
ESG위원회의 권한사항으로는 △안전·보건에 관한 계획 사전심의 △ESG관련 이행 모니터링 및 보고서 발간 △환경 및 기후변화와 관련한 저탄소정책 검토 등이 부여됐다.
김 위원장으로서는 포스코 산업안전·보건 계획 마련과 함께 이행까지 감시해야 할 책임을 진 것으로 볼 수 있다.
포스코가 최근 정치권으로부터 잇단 사망자 발생에 따른 산업재해 문제로 집중 질타를 받았다는 점에서 안전보건계획 수립과 이행을 더욱 철저히 관리 감독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포스코에선 최 회장 취임 뒤 산업현장에서 1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에 앞서 최 회장은 올해 2월22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산업재해관련 청문회에서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으로부터 왜 지금껏 이사회에서 안전과 관련해 한 번도 논의하지 않았냐는 질타를 듣기도 했다.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은 “최 회장은 책임을 느끼고 조금 더 획기적으로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는 방안을 내놔야 한다”며 “올해 국정감사 때까지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안호영 민주당 의원도 최 회장에게 “또 다시 포스코에서 안전사고가 발행하면 증인은 청문회나 국정감사장에 다시 서야할 것이다”고 말하기도 했다.
더욱이 ESG위원회 소속인 장승화 사외이사나 유영숙 사외이사 등은 실제 기업경영 경험이 없는 만큼 산업안전과 관련해서는 김 위원장의 역할이 더욱 중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유영숙 사외이사는 이명박 정부시절 환경부 장관 출신이고 장승화 사외이사도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장을 맡았다는 점에서 산업안전분야 경력이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
반면 김 위원장은 SK그룹 부회장 출신으로 포스코 사외이사 이전에 삼성물산과 삼성전자, SK텔레콤 등 제조업과 통신업 등 다양한 업종에서 경험을 쌓아온 전문경영인으로 평가 받는다.
2020년에는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과 한진칼 경영권 분쟁에서 KCGI와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 등 3자연합으로부터 한진칼의 사내이사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포스코 측에 이사회에서 의결한 올해 포스코 안전·보건계획의 구체적 내용 등과 관련해 문의했으나 답변을 받지 못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