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여론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이 지사는 현재 대선 경쟁구도에서 가장 안정적으로 대중적 지지를 확보한 인물로 꼽힌다.
여론 조사기관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등이 15~17일 전국에 사는 만18세 이상 1009명의 응답을 받아 진행한 대선주자 적합도 조사를 보면 이 지사는 25%,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23% 응답을 받으며 오차범위(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 안에서 선두를 놓고 접전을 벌이는 것으로 파악됐다.
뒤이어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상임선거대책위원장은 10%로 집계됐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 지사가 압도적 선두를 지키며 대세론을 형성한 게 아닌 데다 대선까지 1년 정도 남아 있기 때문에 대선 경쟁구도에서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을 얼마든지 있다.
그러나 이 지사가 오랜 기간 안정적인 지지도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경쟁자들과 비교해 불확실성은 가장 적다는 분석도 많다.
윤 전 총장의 지지율은 외부환경이나 사건에 따른 변동성이 큰 데다 아직 정치권에 완전히 몸담은 게 아닌 까닭에 이 지사의 지지율과 같은 차원에 놓고 비교할 수 없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 시각이다.
이낙연 위원장은 한동안 가장 높은 지지도를 보였지만 지지세가 한풀 꺾였고 지금은 이 지사와 지지율 격차가 다소 벌어졌다.
만약 이재명 지사가 다음 대선 도전에 성공한다면 이명박 전 대통령에 이어 헌정 사상 두 번째로 지자체장 출신 대통령이 탄생하게 된다.
광역자치단체장들은 대선주자로 곧잘 거명돼 왔다.
지자체장은 국회의원을 포함한 다른 선출직 정치인과 비교해 더 큰 정치적 역량을 지녔다는 평가를 받는다. 국회의원 선거구보다 훨씬 넓은 범위에서 유권자의 지지를 확보해야 하고 그만큼 더 큰 조직력을 갖춰야 하기 때문이다.
정치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행정을 경험한다는 점도 지자체장의 강점이 될 수 있다. 국정운영 능력을 유권자에게 입증함에 있어 광역지자체를 운영한 행정경험은 입법과 여야 경쟁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국회의원 경험보다 보통 더 큰 설득력을 지닌다.
한국의 광역단체장과 똑같다고 볼 수는 없지만 미국에서 주지사 출신 대통령이 많은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미국은 주지사가 50명이니 오히려 우리나라 광역단체장보다 숫자가 더 많다.
지미 카터, 로널드 레이건, 빌 클린턴, 조지 워커 부시 전 대통령 등이 백악관에 입성하기 전 모두 주지사를 거쳤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지자체장 출신 정치인들이 대선주자로 유력하게 거명되기만 했을 뿐 대부분 고배를 마셨다.
특히 경기도지사를 맡았던 유력 대선주자들이 연거푸 대선과 멀어지며 경기도지사를 두고 ‘대선주자의 무덤’이란 말까지 나왔다. 이 지사의 전임자였던 이인제, 손학규, 김문수, 남경필 전 지사는 모두 유력 대선주자로 꼽혔지만 결국 모두 정치권 중심부에서 밀려나는 신세가 됐다.
‘소통령’으로도 불리는 서울시장 출신 정치인도 이명박 전 대통령을 빼면 모두 대선 문턱에도 가보지 못했다.
이에 정치권 일각에서는 지자체장들이 뚜렷한 자기 브랜드를 구축하고 시대정신을 담은 비전을 국민에게 제시하지 못한다면 대선에 나서는 데 되레 정치생명을 단축할 수 있다고 본다.
우리나라 지자체장은 대중의 관심에 목말라 한다. 대수 언론과 사회분위기가 중앙정치에 집중돼 있어 국민적 관심에서 멀어지기 십상이다. ‘지도자’ 이미지보다 ‘행정가’ 이미지가 굳어지면 대선주자로서 경쟁력도 떨어진다.
그런 점에서 지자체장으로 대선 도전에 성공한 이명박 전 대통령은 이 지사와 같이 대선 도전을 노리는 지자체장에게 좋은 참고 사례다.
이 전 대통령은 서울시장으로 있으면서 대중교통체계 개편, 청계천 복원사업 등을 추진해 자기 브랜드로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지금도 교통 환승시스템이나 청계천을 보면서 이 전 대통령의 이름 석 자를 연상하는 사람이 적지 않을 정도다.
이 전 대통령이 '부자가 되고 싶다'는 유권자의 마음을 파고든 것도 주효했다.
‘비즈니스 프렌들리’와 ‘747 공약(연평균 7% 경제성장, 10년 뒤 1인당 국민소득 4만 달러, 세계7대 강국 진입)’과 같은 경제적 비전은 이 전 대통령을 대통령에 당선되는 데 한몫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요컨대 이 전 대통령은 서울시장으로 있으면서 얻은 '일 잘하는 정치인'이란 이미지를 CEO 이미지와 결합시키며 ‘경제대통령’이란 자기 브랜드를 확실히 구축했다는 것이 정치권 일반의 분석이다. 이를 토대로 대선공약에서 ‘경제’를 1순위로 내걸며 다수 유권자의 지지를 얻었다.
이 전 대통령이 실제로 국정을 운영하며 이런 비전을 잘 펼쳤는지 여부는 논외로 하더라도 그가 '시대정신'을 읽고 그에 맞는 비전을 제시했다는 점에는 여야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이 대체로 동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