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바이오·제약

넷플릭스의 '성공방정식'이 한국에서도 통할까

조은진 기자 jej3617@businesspost.co.kr 2016-01-08 19:47:32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세계 최대 온라인 동영상 기업인 넷플릭스가 한국에서 성공할 수 있을까?

넷플릭스가 한국에서 성공하려면 한국의 유료방송 생태계를 이해하고 이에 적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넷플릭스의 '성공방정식'이 한국에서도 통할까  
▲ 리드 헤이스팅스 넷플릭스 CEO.
8일 업계에 따르면 넷플릭스가 한국에 진출하면서 국내 이동통신사와 손잡고 TV플랫폼을 이용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당분간 PC인터넷과 모바일 플랫폼으로 독자서비스를 선택했다.

넷플릭스는 7일 한국을 포함한 130개 나라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 

넷플릭스는 미국 등 진출한 나라마다 큰 성공을 거뒀다. 케이블TV나 인터넷방송(IPTV) 등 플랫폼보다 싼 가격을 내세웠기 때문이다.

넷플릭스의 서비스 요금은 7.99달러부터 최대 11.99달러에 불과하다. 우리돈 1만5천 원 정도다.

반면 미국에서 케이블TV의 한 달 이용요금은 10만 원이 넘는다.

넷플릭스의 이런 저가전략이 한국에서 통할지를 놓고 의문부호가 붙는다.

국내 케이블TV 월 이용료는 약 1만~2만 원 수준으로 넷플릭스와 비슷하다. IPTV의 경우 이동통신사가 ‘결합상품’으로 판매하는 경우가 많아 이용요금은 더욱 저렴하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넷플릭스에게 한국사업은 큰 도전이 될 것”이라며 “한국 고객들이 넷플릭스가 내세우는 ‘낮은 가격’에 크게 호응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넷플릭스의 대표적 사업성공 모델인 ‘개봉영화를 동시에 스트리밍으로’ 전략도 한국에서 통할지 미지수다.

넷플릭스는 영화사에 거액을 투자한 뒤 영화가 개봉하면 동시에 단독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략을 펼쳐왔다.

이 전략은 미국과 유럽 등에서 크게 성공했다. 최신 극장 개봉작을 집에서 편하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넷플릭스는 최근 봉준호 감독이 준비하고 있는 영화 ‘옥자’에도 5천만 달러를 투자했다. 옥자가 개봉할 경우 넷플릭스 고객들이 이를 집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업계의 한 전문가는 “한국인들이 극장에 가는 것은 영화를 단순히 본다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며 “영화를 체험하고 사회생활을 하는 등 다양한 의미가 있기 때문에 동시개봉을 한다고 해도 극장을 대체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진 기자]

최신기사

교보증권 "현대백화점, 백화점은 든든하고 면세는 살아나고 지누스는 잘하고"
삼성전자 "일체형 세탁건조기 점유율 70%, 판매량 2배 더 늘릴 것"
유진투자 "오리온 중국 성장률 하락, 털고 일어나 달리면 된다"
하나증권 "KT밀리의서재 통신사 해킹 반사수혜, 밸류 리레이팅 구간"
"간암치료제 포기는 없다" 진양곤 3번째 도전, 내년 글로벌 신약 3개 이상 출시
백악관 고위 관료 "중국 AI 반도체 수출통제 유지", 엔비디아 젠슨 황 요청 거부
[전국지표조사] D-12일, 호감도 이재명 46% 김문수 33% 이준석 27%
[전국지표조사] D-12일, 차기 대선 놓고 정권교체 55% vs 정권재창출 34%
[전국지표조사] D-12일, 당선가능성 이재명 67% 김문수 23%
비트코인 시세 올해 21만 달러로 상승 가능성, "기관 투자자가 강세장 주도"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