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021년 세계경제의 향방을 좌우할 요인으로 코로나19 백신 상용화,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 등을 꼽았다.
한국은행은 3일 해외경제 포커스에서 ‘2021년 세계경제 향방을 좌우할 7대 이슈’를 선정해 발표했다.
▲ 한국은행 로고.
한국은행은 2021년 세계경제를 두고 “경기회복 불균형 심화 등 일부 부정적 요인이 있겠지만 코로나19 백신 상용화, 미국 새 정부의 재정 지출 확대 등으로 하반기로 갈수록 성장세가 커질 것”이라면서도 “코로나19 종식 지연, 미국과 중국 갈등 등 다양한 이슈들이 영향을 주며 세계경제가 예측하지 못한 방향으로 전개될 가능성도 상존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7개 이슈로 △코로나19 백신 상용화 △바이드노믹스 본격화 △중국의 성장전략 전환 △글로벌 패권경쟁 상시화 △유럽 내 경제불균형 및 정치갈등 심화 가능성 △글로벌 경기회복 불균형 △기후변화 관련 국제적 대응 노력 강화 등을 꼽았다.
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해 최근 주요국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하는 등 상용화 시기가 예상보다 빠르게 도래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행은 “2021년 하반기 집단 면역에 가까워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백신 접종 거부감, 일부 백신의 출시 지연 가능성 등은 코로나19 조기종식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바라봤다.
바이든 정부 출범으로 미국의 재정지출, 인프라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점은 글로벌경제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됐다.
중국이 수출 중심 성장에서 거대 내수시장의 잠재력을 활용하는 성장으로 정책기조를 전환하는 점도 내년 세계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됐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중국정책이 원칙에 기반한 견제방식으로 전환되면서 단기 불확실성은 줄어들겠지만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장기화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바이든 정부는 트럼프 정부보다 경제분야에서 직접적 압박조치를 일부 완화할 것으로 보이지만 인권 등 비경제적 문제에서 강경하게 대응할 것으로 예상됐다.
코로나19 사태로 독일 등 북유럽과 이탈리아 등 남유럽 사이 경제력 격차와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경제위기 대응 과정에서 드러난 유럽연합(EU) 체제의 구조적 문제는 회원국 사이 정치적·경제적 갈등을 유발하면서 앞으로 공동체의 결속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글로벌 경기회복은 불균형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은행은 “선진국과 신흥국 사이 불균형 확대가 세계경제의 회복을 제약하는 가운데 국가 안에서도 계층·산업 사이 불균형 심화로 코로나19 충격이 고착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기후변화 관련 국제적 대응이 강화하면서 새로운 사업,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펼쳐지고 친환경 기술이 발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