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한국전력에 따르면 2021년 1분기 안에 연구소기업 5곳을 만드는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연구소기업은 정부출연기관 등이 공공연구기관에서 개발한 기술을 상용화하기 위해 자본금의 20% 이상을 직접 출자해 연구개발특구 안에 설립하는 형태로 만들어진다.
연구소기업은 공공연구기관이 단순한 기술 공급을 넘어 책임 있는 주주로 기술을 상용화하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업모델이다.
한국전력은 새로 설립할 5곳의 연구소기업에 8억 원어치의 현물을 출자한다. 민간기업도 참여해 연구소기업은 공동지분 출자방식으로 만들어진다.
한국전력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특허와 기술을 현금으로 환산한 뒤 이를 현물로 출자하는 방식을 썼다. 이처럼 출자한 연구소기업을 통해 한국전력이 개발한 특허와 기술을 상용화하고 실제 수익으로도 연결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한국전력이 자회사를 세우거나 자체적으로 기술 상용화를 추진하는 방법도 있지만 한국전력공사법으로 사업목적이 제한돼 있어 특허와 기술을 사업화하려면 정부로부터 특별허가를 받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연구소기업을 통하면 공기업인 한국전력이 많은 연구진과 연구개발비를 투입해 개발한 기술을 내놓고 관련 벤처기업들이 함께 참여해 기술을 실제 사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벤처기업 육성정책을 펼치는 정부로부터 연구소기업에 관한 지원을 받으며 특허와 기술을 상용화할 수 있다.
한국전력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한국전력이 특허 사용권을 연구소기업에 주면 연구소기업이 기술을 상용화하기 위해 추가로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여러 연구소기업 가운데 하나라도 상장기업이 나오면 그 자체가 큰 성과가 아닐 수 없다”고 말했다.
한국전력은 사내벤처를 육성해 연구소기업으로 만드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내부 직원들의 아이디어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한국전력은 현재 연간 4500억 원 정도의 연구개발 예산을 투입하고 있는데 2025년까지 연구개발비를 1조 원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한국전력은 최근 전기요금체계 개편으로 안정적 실적 기반을 마련했기 때문에 연구소기업을 활성화하는 데 탄력을 줄 재원도 한층 손쉽게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력은 2018년부터 연구소기업에 만들어 왔다.
한국전력은 첫 번째 연구소기업으로 전력설비 기술을 보유한 한국에너지솔루션을 설립했다.
그 뒤를 이어 2020년까지 아이티알(열화감시진단시스템), 구조실험네트워크(구조실험서비스), 슈어데이터랩(전력데이터 기반 분석 서비스), 한국전력정보(전력정보데이터 변환 플랫폼 이용 진단 및 거래), 오투엔비글로벌(환경설비), 트로닉스(소프트웨어), 에스이피(정보통신 서비스) 등 모두 8개 기업을 세웠다.
한국전력은 그동안 전력설비와 관련된 연구소기업을 세워왔지만 2021년부터는 전력산업의 디지털 전환 흐름에 맞춰 4차산업혁명 기술을 상용화하는 데 방점을 찍었다.
한국전력은 디지털트윈(디지털복제기술) 기반 증강현실 구현·관리, 에너지홈 안전관리 솔루션, 전력빅데이터 인공지능 플랫폼, 지능형 원격검침인프라 등 4차 산업혁명 기술과 관련한 연구소기업을 세운다.
김종갑 사장은 연구소기업과 관련해 “한국전력의 연구소기업을 강소특구에 지속적으로 설립해 지역발전과 전력기술 발전의 선순환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