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효 기자 kjihyo@businesspost.co.kr2020-07-27 16:52:30
확대축소
공유하기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지하철 상가 공실률을 낮추기 위해 임대료를 인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하지만 코로나19 위기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서울교통공사가 임대료를 낮추기 위해 5년 동안 이어질 계약 규정을 변경하기도 어려워 당분간 공실을 줄이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 김상범 서울교통공사 사장.
27일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위기가 본격화한 이후 비어있는 지하철 상가가 15%가량 늘었다.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지하철 1호선부터 8호선의 상가 1725개 가운데 비어있는 상가는 3월 말 기준으로 187개였지만 6월 초 기준으로는 상가 1714개 가운데 215개가 공실로 파악됐다.
공실률도 3월 말 10.8%에서 6월 말 12.5%로 높아졌다.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 상가 공실률을 낮추기 위해 기존에 여러 개의 상가를 묶어 대규모 입찰을 시행하던 관행을 바꿔 개별입찰로 진행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서울교통공사의 이런 방침을 두고 지하철 상가 공실률을 낮추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시선이 나온다.
지하철 상가 공실률을 높이는 데 가장 중요한 이유로 꼽히는 비싼 임대료를 해결하지 못하는 대책이라는 것이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2020년 1분기에 서울 전체 기준으로 소규모 상가의 월평균 임대료는 m2당 5만1400원, 중대형 상가의 임대료는 5만5300원 정도다.
반면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고 있는 지하철 상가의 월평균 임대료는 m2당 약 7만6270원에 이른다.
서울교통공사는 해마다 12월에 감정평가를 받아 이를 기반으로 임대료 기초금액을 정하고 있다. 한번 기초금액이 결정되면 1년 동안 바뀌지 않기 때문에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하지 못한 비현실적 임대료라는 말도 나온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임대료를 낮춰서라도 공실을 메워야한다는 시선이 나온다.
송도호 서울시의회 의원은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지하철 상가가 임대료가 높아 빈 곳이 많다”며 “상가를 공실로 두느니 코로나19로 경기가 침체한 상황을 고려해 임대료를 낮춰서라도 공실을 막는 것이 서울교통공사 실적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 의원은 지하철 상가 공실로 발생한 예상 손실규모가 연 20억 원에 이른다고 봤다.
임대료를 낮추기 위해서는 규정 변경이 필요하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언제까지 지속될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서울교통공사가 관련 기준을 변경하기 쉽지 않은 상황에 놓여 있다.
서울교통공사의 상가관리규정에 따르면 상가 임대료는 감정평가에 따른 기초금액을 기반으로 입찰을 통해 책정된다. 기초금액을 넘어서는 최고가격을 쓴 사람이 운영권을 따내는 구조다.
한번 계약을 맺으면 5년 동안 이어지기 때문에 올해 코로나19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임대료 기준을 바꾸게 된다면 5년 동안 그 금액을 유지해야 한다.
서울교통공사는 코로나19 위기대책으로 2월부터 7월까지 6개월 동안 한시적으로 지하철 상가 임대료를 50% 감면해준다는 대책을 내놓은 바 있다.
서울교통공사는 2017년 5월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가 합병돼 세워졌다.
출범 첫 해인 2017년 순손실 4074억 원을 낸 뒤 2018년 5388억 원, 2019년 5864억 원 등 해마다 순손실 규모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상가 임대료 인하가 필요하다는 지적에도 공실률 개선을 위한 새로운 방식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지하철 상가 임대료는 감정평가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경제상황이 어렵다고 해서 임의로 낮추거나 올릴 수는 없는 구조"라며 "코로나19 이전까지는 지하철 부근의 상가는 유동인구가 많아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고 있는 지하상가뿐만 아니라 지상의 상가도 임대료가 높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상가 공실률을 낮추기 위해 대규모 입찰에서 개별입찰로 바꾸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인기가 높은 위치에 있는 상가들은 최대한 빠르게 입찰이 성사될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