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검찰개혁에 속도를 내며 정치적 인생의 '마지막 꿈'을 향해 내달리고 있다.
추 장관은 서울시장이나 대통령선거 후보로도 거명되고 있는데 다음 정치적 행보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검찰개혁에 승부를 걸 것으로 보인다.
26일 정치권과 법조계 관계자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추 장관은 여름 정기 검찰인사를 통해 검찰개혁을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검찰개혁에 저항하는 것으로 비쳐졌던 '윤석열사단'은 7월 인사를 통해 힘이 더 빠질 가능성이 높다.
무엇보다 추 장관은 검사장급 인사에 신중을 기할 것으로 전망된다. '검찰의 꽃'으로 불리는 검사장급 이상 자리는 모두 46개인데 현재 8곳이 비어있다.
당초 대검 인권부장과 대전·대구·광주·부산고검 차장, 법무연수원 기획부장 등 여섯 자리가 비어 있었는데 최근 김영대 서울고검장과 양부남 부산고검장이 사퇴 의사를 밝힘에 따라 두 곳 더 늘었다.
부장검사와 부부장검사의 승진을 포함해 인사폭이 더 커질 수 있다는 법조계 안팎의 관측도 나온다. 추 장관이 윤석열 검찰총장을 압박하기 위해 이번에도 검찰인사 카드를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추 장관은 6월18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7월 검찰인사와 관련해 “형사‧공판부에서 묵묵히 일해 온 인재들을 발탁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법조계에서는 추 장관의 이런 인사기조를 특수부를 중용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한다.
검찰 내 ‘윤석열사단’은 주로 특수부 출신으로 구성된 만큼 이번 인사도 윤 총장을 무력화하는 방향으로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미 추 장관은 올해 초 검찰인사를 통해 윤 총장의 측근들을 솎아낸 바 있다. 게다가 ‘검언유착’ 사건과 관련해 윤 총장의 개입을 배제하는 수사지휘권까지 발동해 윤 총장을 '지휘'한 바 있다.
추 장관이 강단있게 법무부를 이끄는 모습을 보고 정치권에서는 '역시 추다르크'라는 말이 나온다.
추다르크는
추미애 와 잔다르크를 합한 말로 추 장관의 별명이다. 처음오로 정권교체가 이뤄진 1997년 대통령 선거때
추미애 의원은 "고향 대구를 지역감정의 악령에서 구해내겠다"며 유세단을 만들어는데 당원들이 이를 '잔다르크 유세단'으로 부르면서 추다르크라는 말이 생겼다.
이런 별명에 걸맞게 추 장관은 검찰개혁을 추진하는 동안 아들의 탈영 의혹, 법무부 공지 사전유출 등의 각종 공세에 정면돌파하는 모습을 보였다. 국회에서도 야당의 거센 공세에 한치도 물러서지 않고 맞서고 있다.
22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정치·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김태흠 미래통합당 의원이 아들 관련한 의혹을 따져 묻자 추 장관은 ‘질문에도 금도가 있다’며 맞섰다.
24일 대정부질문에서도 곽상도 통합당 의원이 언론 보도를 근거로 정경심 교수와 관련한 질문을 이어가자 ‘의원님은 언론보도 맹신자냐’, ‘저에게 시비걸려고 질문하시 건 아니지 않느냐’ 등으로 대답해 야당 의원들로부터 거센 항의를 받았다.
정치권에서는 추 장관이 정치인생 내내 보여줬던 강단과 결기를 법무부 장관으로서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고 본다. 검찰개혁의 성과가 추 장관의 정치적 행로를 결정짓는 데 매우 중요한 만큼 추 장관이 검찰개혁에 승부를 걸 수밖에 없다는 시선도 있다.
5선 국회의원이었던 추 장관은 올해 초 법무부 장관에 오르며 4월15일 치러진 21대 총선 출마를 포기했다. 이번에 당선됐으면 원내 최다선인 박병석 국회의장과 같은 선수였던 셈인데 국회 대신 법무부 장관을 선택한 것이다.
민주당 대표까지 지낸 추 장관의 법무부 장관 입각을 두고 ‘체급’에 맞지 않는다는 말도 나왔다.
이를 두고 추 장관이 서울시장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문'으로 민주당이 서울시장 후보로 여성을 공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추 장관은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함께 유력한 서울시장 후보로 꼽히는 것도 사실이다.
추 장관의 시선이 더 높은 곳을 향해 있다고 보는 이들도 있다.
추 장관은 2008년 11월 영남대학교에서 “내 마지막 꿈은 최고지도자가 되는 것”이라며 “국민들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고 다수의 국민들을 끌고 나갈 힘이 있다면 성별과 나이에 구분 없이 국가지도자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류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