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10월 기준금리를 연 1.5%로 동결했다.
내수를 중심으로 국내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명분이 사라졌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
|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5일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가 끝난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금통위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뉴시스> |
한국은행은 15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만장일치로 10월 기준금리를 연 1.5%로 동결했다.
한국은행은 6월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해 1.5%까지 낮췄고 그뒤 9월까지 3개월 연속 금리를 동결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국내 경제가 내수를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앞으로도 경제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점과 국내외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높은 점 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가 종식되면서 국내 소비는 살아나고 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9월 국산 승용차 내수판매량은 지난해 9월보다 15.5% 증가했고 백화점과 할인점 매출은 각각 14.1%, 10.0% 늘었다. 9월 카드 국내승인액 및 휘발유·경유 판매량도 각각 14.8%, 6.2% 증가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남아 있다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고 미국은 기준금리를 올려 양국의 금리격차가 줄어들면 외국인 자본의 이탈 가능성이 높아진다.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1.5%인 반면 미국 기준금리는 현재 0~0.25%다.
가계부채가 크게 늘어난 점도 금리 동결에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은행 가계대출(모기지론 양도 포함) 잔액은 8월보다 6조3천억 원 늘어난 615조8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가계대출 증가액은 54조9천억 원으로 이미 지난해 연간 가계대출 증가액 37조3천억 원을 뛰어 넘었다.
이 총재는 “가계부채 급증은 소비와 성장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향후 취약계층의 재무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백설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