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도 정부에서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기업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 것으로 보인다.
정성립 사장은 대우조선해양의 추가부실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에서 경영정상화를 위해 더욱 속도를 내야 할 처지가 되고 있다.
|
|
|
▲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
14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10월 중에 기업 구조조정을 위한 범정부 협의체를 가동한다.
협의체는 금융위원회, 기획재정부, 금융감독원, 국책은행 등이 모여 정부 지원과 은행 채무로 연명하는 한계기업 등을 가려내고 이들을 정리하기로 했다.
정부가 한계기업 대수술을 예고하면서 대우조선해양이 대기업 구조조정의 첫 번째 사례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이 맡고 있는 대우조선해양은 2분기에 3조 원대 적자를 낸 데 이어 3분기에도 1조 원대의 추가부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7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감에서 “조선해양산업은 관계부처간 협의체를 만들어 전체 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기택 산업은행장은 7일 국감에서 대우조선해양 추가부실을 확정할 수 없으나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 대우조선해양 실사결과 해외 자회사 부실 등을 반영해 1조 원의 손실이 추가될 수 있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1조 원대의 추가부실은 최대한 보수적으로 평가했을 때 가능한 손실규모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8월 드릴십 건조계약이 해지된 점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이 드릴십은 약 7천억 원 규모인데 선주사의 자금난으로 건조계약이 해지됐다.
대우조선해양은 700억 원의 선수금을 제외한 6300억 원의 미수금을 대손충당금에 반영하라는 요구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물론 대우조선해양은 이를 제 값에 매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성립 사장은 2분기에 대우조선해양의 대규모 부실 사실이 드러난 뒤 모든 잠재적 부실을 2분기 실적에 반영하고 강도높은 구조조정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정 사장이 모든 부실을 2분기 실적에 반영하겠다고 밝힌 만큼 조 단위의 새로운 부실이 드러나면 논란이 일어날 수도 있다. 정 사장은 추가부실에 대한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정 사장이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정 사장은 대우조선해양의 유동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정 사장은 국감에서 추가부실 우려가 나온 바로 다음날인 8일 대우조선해양은 자회사 FLC 매각계약을 맺었다.
정 사장이 9월21일 국감에서 FLC 매각을 보류하겠다고 말했는데 한 달도 안 돼 태도를 바꿨다.
정 사장은 알짜 자산을 헐값에 매각할 수 없다는 뜻을 내비쳤으나 FLC를 예상 매매가격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에 서둘러 판 것도 구조조정에 대한 압박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대우조선해양은 또 본사 사옥을 담보로 1천억 원 담보대출을 받기로 했다. 정 사장은 본사 사옥을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었는데 사옥 매각이 지연되자 당장 유동성 확보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대우조선해양은 이날 중국 조선소 설립 중단과 자사주 전량 매각도 발표했다.
정 사장은 이런 조치를 통해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우려를 조기에 차단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