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숙 한국도로공사 사장이 ‘스마트톨링’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스마트톨링은 주행 중인 자동차 번호판을 차량인식 영상장비로 판별해 통행료를 자동으로 후불 청구하는 체계를 말한다.
28일 도로공사에 따르면 김 사장은 연말까지 진행되는 스마트톨링 시범사업을 바탕으로 도입시기와 범위를 결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톨링이 도입되면 도로공사의 현행 자동결제체계인 ‘하이패스’ 단말기를 설치하지 않은 일반차량도 고속도로 요금소(톨게이트)에 들리지 않고 지나갈 수 있다.
요금소 자체의 필요성이 줄어드는 데다 차량이 요금을 내기 위해 감속하지 않아도 된다. 그만큼 교통정체나 환경오염 문제도 감소할 수 있다.
도로공사는 2020년 스마트톨링 전면 도입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개인정보 유출과 고용불안 문제 등이 제기되면서 목표시기가 2022년 이후로 밀렸고 도입범위도 축소됐다.
2019년 고속도로 요금수납원들이 직접고용 여부를 놓고 도로공사 본사와 부딪치면서 스마트톨링 도입이 더욱 늦춰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김 사장은 10일 취임사에서부터 “첨단기술을 활용한 스마트고속도로 구축에 더욱 많이 투자해야 한다”며 “스마트톨링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는 "도로공사의 스마트톨링 시범사업을 2020년 말까지 마무리한 뒤 연구용역을 거쳐 스마트톨링 도입을 최적화할 방안을 찾겠다"는 방침도 내놓았다.
도로공사는 현재 경인선 인천영업소와 남해선(영암~순천) 노선을 대상으로 스마트톨링을 시험하는 ‘영상약정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영상약정 시범사업은 서비스에 가입한 차량이 하이패스 단말기를 설치하지 않은 채로 하이패스 차로를 무정차 운행하면서 미리 등록한 신용카드나 계좌를 통해 통행료를 자동납부하는 방식이다.
도로공사 관계자는 "사전 동의를 받은 차량을 대상으로 스마트톨링을 위한 영상약정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결과가 나오면 국토교통부와 협의를 통해 스마트톨링 도입에 관련된 세부 사안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도로공사의 사업 전반에 IT기술을 접목해 사회적 가치와 수익성을 강화하려는 과정에서 먼저 스마트톨링부터 힘을 실으려는 것으로 보인다.
그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시절 세종시를 국내 최초의 자율주행실증 규제자유특구로 지정하는 등 IT기술 도입에 상당한 관심을 보여왔다. 스마트톨링은 자율주행 차량의 막힘없는 도로 주행을 뒷받침할 인프라로도 꼽힌다.
도로공사도 스마트톨링이 보편화될수록 요금소에 필요한 공사비와 인건비, 통행권 발권비 등을 중장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스마트톨링에 필요한 차로 개량과 차적 조회시스템 등을 갖추려면 상당한 비용이 들어갈 수 있다. 도로공사가 스마트톨링 전면 도입을 추진하던 시절에는 관련 비용만 전체 1300억 원 이상으로 추산되기도 했다.
도로공사가 자회사를 통한 요금수납원 직접고용과 코로나19에 따른 각종 통행료 면제 등을 결정해 올해 실적 후퇴 가능성이 있는 점을 고려하면 스마트톨링 구축비용이 부담스러울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도로공사 관계자는 "스마트톨링 도입에 필요한 비용 역시 국토부와 협의를 거쳐야 하는 사안"이라며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스마트톨링 도입비용이 얼마나 될지 가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