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금리를 추가로 내릴 여력이 있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이는 미국이 금리를 인상해도 국내 경제상황에 따라 금리를 더 내릴 수 있다는 뜻을 비춘 것으로 풀이된다.
|
|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
이 총재는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한국은행 국정감사에서 “지금의 기준금리 수준이 명목금리의 하한선에 도달했다고 볼 수 없다”고 밝혔다.
현재 기준금리는 연 1.5%로 사상 최저수준이다. 이 총재는 “선진국은 양적완화를 목적으로 기준금리를 0% 수준으로 떨어뜨리고 지급준비율을 마이너스로 내리기도 했다”며 “우리나라는 현재 기준금리 정책을 추가로 펼칠 여력이 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금리정책의 방향은 지금 확정할 수 없으며 모든 상황을 감안해 결정할 수밖에 없다”며 “금융과 경제상황이 전개되는 것에 따라 기준금리를 내릴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둬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 인하폭을 기존 0.25%포인트에서 0.15%포인트로 줄일 수 있느냐는 질문을 받자 “기준금리 인하를 고려하게 될 상황이 온다면 인하폭을 줄이는 것도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이 총재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2015년 안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이 총재는 한국은행이 미국과 달리 기준금리를 동결하거나 추가로 내릴 수 있는 여지를 뒀다.
이 총재는 “미국이 올해 안에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이지만 인상 횟수는 1년에 4번 이하일 것”이라며 “미국이 기준금리를 점진적으로 인상한다는 전제를 감안하면 충격이 우려할 만큼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미국의 금리 인상 이후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를 올릴 시기를 묻는 질의에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9월에 기준금리를 인상한다고 가정해야 미국의 금리 정상화 예정을 추측할 수 있다”며 “지금 시점에서는 판단하기 어려운 부분”이라고 대답했다.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는 현재 1.5%포인트에 이른다. 한국의 경제 기초여건을 감안하면 기준금리를 곧바로 따라 올리지 않아도 어느 정도 버틸 여력이 있다는 것이다.
그는 “경제 기초환경과 외환건전성을 고려하면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를 어느 정도 감내할 수 있다”며 “다만 그 기간이 미국의 금리 인상 시점에서 3개월 뒤인지 6개월 뒤인지 말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외국인 자금 유출을 사전예방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 총재는 “외국인 투자자금은 지금도 3개월째 줄어들고 있다”며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으로 자금 유출을 모두 막을 수 없다”고 밝혔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