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남동구갑에서 더불어민주당 맹성규 후보와 미래통합당 유정복 후보가 교통망 확충을 놓고 치열하게 표심을 잡기 위해 뛰고 있다.
맹 후보는 국토교통부 제2차관을 지낸 교통정책 전문가라는 점을, 유 후보는 인천시장을 지낸 중진 정치인이라는 점을 앞세워 지역의 교통 인프라 확대에 적임자라고 주장한다.
▲ 더불어민주당 맹성규 후보(왼쪽), 미래통합당 유정복 후보. |
9일 인천 정치권에 따르면 맹 후보와 유 후보는 모두 남동구갑의 교통망 확충을 핵심 공약으로 내세워 유권자들의 표심을 얻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맹 후보는 선거 공보물 첫머리에 ‘국토교통부 30년 제2차관 출신, 교통혁명을 위한 적임자’라는 문구를 적으며 교통정책 전문성을 강조했다.
이 문구는 선거법 위반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통합당 인천시당은 7일 맹 후보가 국토부에서 실제 일한 경력이 30년이 못된다는 내용의 논평을 내며 인천 남동구선거관리위원회에 맹 후보의 허위 경력 기재에 관한 엄정한 조사를 요구했다.
선관위는 맹 후보가 선거법을 위반했다는 신고를 접수하고 조사를 진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맹 후보 쪽 관계자는 “맹 후보가 관료 경력 약 31년 중 대부분을 국토부에서 일했고 중간에 강원도 경제부지사 등으로 일한 것을 제외해도 28년 쯤 된다”며 “이같은 사례에 대법원 판례 등을 봐도 위법사항으로 보지 않는 것으로 나온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맹 후보가 국토부 외 부처 등에서 일한 경력도 주로 국토교통 분야 업무였다”고 덧붙였다.
유 후보는 인천시장으로 일하며 인천지역의 현안에 밝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지역을 잘 아는 만큼 교통망을 확충하는 데도 자기가 적임자라는 것이다.
두 후보의 교통공약 대결은 7일 인천 중구 티브로드 스튜디오에서 열린 총선 토론회에서도 치열하게 펼쳐졌다.
맹 후보는 토론회에서 유 후보가 내놓은 경인전철 지하화 공약의 사업성을 문제삼았다.
그는 “유 후보가 2014년과 2018년 인천시장 선거 때와 이번 총선 때 경인전철 지하화를 약속했는데 이미 2016년에 안 되는 것으로 결론 난 사업”이라며 “명확한 답변을 달라”고 말했다.
유 후보는 “민주당 내 윤관석·홍영표·남영희·허종식 후보 모두 경인전철 지하화를 공약했는데 그 사람들은 민주당 후보 아닌가”라고 받아쳤다.
유 후보가 내놓은 S-BRT(첨단급행버스 시스템) 공약을 놓고 의견을 묻자 맹 후보는 “개념도 모르면서 자꾸 공약을 하시는 것 같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전용차로”라고 답변했다.
남동구갑은 시청과 교육청 등이 몰려있는 인천의 정치·행정 중심지로 꼽힌다.
이곳은 과거 보수 지지세가 강했지만 최근 들어 진보성향 유권자들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남동구갑에는 2008년 18대 총선까지 주로 보수 정당에서 국회의원이 나왔지만 19대와 20대 총선에서 잇따라 민주당계 국회의원이 당선됐다.
2018년 지방선거와 동시에 치러진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도 민주당 맹 후보가 당선됐다.
이 선거구에 포함된 논현동과 고잔동에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들어서 젊은 인구 비중이 늘어난 것이 진보 성향 유권자층이 두터워지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남동구갑 유권자 지형이 민주당 후보에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면서 현역의원인 맹 후보는 애초 비교적 쉽게 재선 고지에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통합당에서 정치적 경력이 화려하고 인지도가 높은 유 후보를 공천하며 승부를 예측하기 어려워졌다.
유 후보는 이명박 정부 때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박근혜 정부 때 안전행정부 장관을 지내고 인천시장에도 당선됐던 인물이다.
국회의원에도 3번 당선돼 통합당 내 대표적 중진 정치인으로 꼽힌다.
여론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맹 후보와 유 후보는 접전을 벌이는 것으로 파악된다.
여론 조사기관 리서치뷰가 인천투데이의 의뢰를 받아 3월27~28 이틀 동안 남동갑에 사는 유권자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국회의원 후보 지지도 조사에서 맹 후보는 44.7%, 유 후보는 36.3%의 지지를 받는 것으로 집계됐다.
표본 오차가 95% 신뢰 수준에서 ±4.4%포인트인 여론조사라 두 후보의 지지율 격차는 오차범위 안에 있어 접전이 펼쳐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여론조사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류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