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상공인살리기협회 관계자는 "부산시는 동백전을 체크카드 형태로 발행하는 점을 해결할 수 없다면 지역화폐 발행을 중단해야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동백전을 체크카드 형태로 발행해 노령층 등의 사용이 제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대하고 있다.
체크카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내려받거나 은행에서 발급받아야 한다. 은행계좌도 필요하고 신용불량자는 사용할 수 없다.
이들은 그동안 선불형 적립카드 형태로 발행할 것을 부산시에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다만 부산시는 이들의 요구인 대형마트와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에서 사용을 제한해달라는 점과 체크카드를 사용해도 부산시 밖에서는 사용할 수 없도록 해달라는 점은 받아들였다.
하지만 부산시의 동백전이 백화점,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등에서 사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사용처가 한정돼 있어 동백전의 활성화가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부산 지역사회에서는 “울산시가 지역화폐인 ‘울산페이’를 출시했지만 가맹점이 부족해 지금도 고전하고 있음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며 “인천시가 대박이 날 수 있었던 이유는 다양한 사용처를 확보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울산시는 울산페이 운영을 시작한 8월29일부터 10월21일까지 발행액이 13억9600만 원에 그쳤다. 울산시가 목표로 내세운 300억 원의 5% 수준에 그치는 것이다.
반면 인천시는 2018년 7월 지역화폐 ‘인천이음’을 도입했는데 2019년 10월 기준 가입자 수 90만 명, 카드결제액 1조1천억 원을 각각 넘었다. 이는 전국 최고 수준의 이용률로 집계된다.
이에 더해 동백전의 활용처가 부산시에서도 서면이나 해운대 등 일부 지역에 쏠릴 수 있다는 점도 문제로 꼽히고 있다. 또 당초 예상됐던 연간 발행액 규모도 1조 원에서 3천억 원 수준으로 낮아져 기대감도 다소 줄었다.
오거돈 부산시장이 동백전을 통해 지역경제를 살리겠다는 목표를 세운 것은 정부에서 지역화폐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2018년 12월 ‘자영업 성장과 혁신 종합대책’을 통해 2022년까지 18조 원 규모의 지역상품권(8조 원)·온누리상품권(10조 원)을 발행한다고 발표했고 지자체에서도 지역화폐를 적극적으로 발행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지역화폐 발행액의 4%를 국비로 지원하고 있다.
지역화폐를 발행하는 이유는 지역 소비를 촉진하는 데 있다. 어려운 경제상황에서 지역 사용에 많은 혜택을 제공해 소비가 움츠러드는 것을 막겠다는 취지다. 국비예산도 투입되는 만큼 지역에서는 경제활성화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부산시는 7월 ‘부산광역시 지역화폐 이용 활성화에 관한 조례’를 제정한 뒤 시의회, 소상공인, 시민단체 및 전문가들과 논의하면서 지역화폐 발행의 기본계획을 마련해 왔다.
오 시장은 “지역화폐는 말 그대로 돈을 지역에서 돌게 만들 수 있으며 특히 대형유통점이 아니라 동네상가의 소상공업체 위주로 사용돼 이들의 경제가 살아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내년에 지역화폐가 본격적으로 풀리면 지역에서 자금이 돌고 돌아 지역 소비가 진작되고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소득이 늘어나 서민경제가 크게 살아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동백전은 신용카드 단말기가 있는 부산시 모든 점포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발행규모는 우선 2020년 1년 동안 3천억 원 규모로 결정했다.
동백전은 사용할 때마다 이용자에게 6%의 캐시백 혜택을 제공한다. 초기 확대를 위해서 2020년 1월말까지는 10%의 캐시백 혜택을 주기로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