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수 영국투명성기구 연구원은 “산재사망을 일으킨 기업이 문을 닫을 정도로 정부가 제재하지 않으면 국민의 생명이나 안전이 보장될 수 없다”며 “국가가 기업보다 국민의 입장에서 정책을 실현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대형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많은 기업들은 CEO들이 직접 안전 점검에 나서고 있다.
![]() |
||
▲ 황태현 포스코 건설 사장이 건설 현장을 방문하고 있다.<뉴시스> |
그는 "회사가 실시하고 있는 신호등 위험예고제를 통해 현장의 취약부분을 사전에 개선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달라"고 강조했다.
황사장은 앞으로 우이~신설 경전철, 포항제철소 내 현장 등 국내외 현장 곳곳을 찾아 안전을 직접 점검하기로 했다.
삼성그룹 미래전략실도 22일 팀장별 회의를 열어 그룹 전반의 안전사고 재발방지를 위한 근본대책을 강구하기로 했다. 이건희 회장은 그동안 그룹에서 발생했던 크고 작은 안전사고에 대해 단호한 조처를 강조해왔다.
공기업들도 안전점검에 분주하다. 한국수자원공사도 22~23일 이틀 동안 기상이변과 여름철 홍수에 대비한 모의훈련에 들어갔다. 코레일은 22일 관련 기관과 매년 상하반기에 각 12회씩 ‘대형사고 대비 승객구조와 사고복구 합동훈련’을 본사와 지역본부가 주관해 실시하고 월 1회 매뉴얼 정비 상태와 개인별 업무 숙지상태도 불시에 점검하기로 했다.
최근 도크에서 화재가 일어나 2명이 사망한 사고가 일어난 현대중공업은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도크는 건조된 선박을 바다에 띄울 수 있도록 해주는 시설이다.
이재성 현대중공업 회장은 사고위험 경보제를 도입하고 사고위험 특별진단팀을 만들어 운영하라고 지시했다. 사고위험 경보제는 일주일 동안 사고위험 건수를 집계해 일정 기준치에 따라 주의보와 경보로 나누어 내리면 부서장에게 통보돼 현장 안전관리와 감독을 강화하는 제도다. 사고위험 특별진단팀은 사내 모든 시설물 및 장비, 인력을 점검하고 개선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현대중공업은 이번 사고가 일어나면서 처음으로 발동한 작업중지권을 앞으로 더욱 활성화하기로 했다. 작업중지권이 발동되면 모든 작업이 중지되고 전체시설과 관리 미흡사항을 점검해 개선하도록 조치한다.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장윤경 기자의 다른기사보기롯데리아 K-버거로 미국에서 성공할까, 롯데GRS 실적 부진 끊어낸 차우철 매직 주목 |
호남 인구 줄어드는데 JB금융지주 지속가능성은 어떻게, 김기홍 새 고객 찾고 해외로 |
버거킹 사모펀드 투자회수로 부채비율 늘어, 이동형 대주주 이익과 재무건전성 사이 '딜레마' |
효성그룹 조현준 회장 세 자녀, HS효성 지분 모두 처분 |
금융위 제4인뱅 예비인가 모두 불허, '유력 후보' 소호은행 "대주주 자본력 미흡" 평가 |
신라면세점 신세계면세점 '선택의 시간',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유지할까 싸울까 포기할까 |
코스피 '숨고르기' 3410선 하락 마감, 코스닥도 840선 내려 |
법무부 장관 정성호 "검찰 '이화영 술자리 회유' 의혹 사실인 정황 확인" |
코스콤 스테이블코인 상표권 출원, 사장직속 전담 TF도 설치 |
이재용 삼성디스플레이 충남 아산 사업장 점검, 현장경영 행보 이어가 |
나이스신용평가 "현대차그룹 미국 메타플랜트 가동효과로 관세부담 4조 이하로 축소" |
민주당 진성준 "부동산 탈세 중 부모 아파트 낮은 가격으로 산 경우가 90%" |
경찰, 불법 초소형 기지국 이용 KT 소액결제 중국교포 용의자 2명 검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