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수 영국투명성기구 연구원은 “산재사망을 일으킨 기업이 문을 닫을 정도로 정부가 제재하지 않으면  국민의 생명이나 안전이 보장될 수 없다”며 “국가가 기업보다 국민의 입장에서 정책을 실현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대형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많은 기업들은 CEO들이 직접 안전 점검에 나서고 있다. 
  
![]()  | 
            ||
| ▲ 황태현 포스코 건설 사장이 건설 현장을 방문하고 있다.<뉴시스> | ||
그는 "회사가 실시하고 있는 신호등 위험예고제를 통해 현장의 취약부분을 사전에 개선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달라"고 강조했다. 
황사장은 앞으로 우이~신설 경전철, 포항제철소 내 현장 등 국내외 현장 곳곳을 찾아 안전을 직접 점검하기로 했다.
삼성그룹 미래전략실도 22일 팀장별 회의를 열어 그룹 전반의 안전사고 재발방지를 위한 근본대책을 강구하기로 했다. 이건희 회장은 그동안 그룹에서 발생했던 크고 작은 안전사고에 대해 단호한 조처를 강조해왔다.
공기업들도 안전점검에 분주하다. 한국수자원공사도 22~23일 이틀 동안 기상이변과 여름철 홍수에 대비한 모의훈련에 들어갔다. 코레일은 22일 관련 기관과 매년 상하반기에 각 12회씩 ‘대형사고 대비 승객구조와 사고복구 합동훈련’을 본사와 지역본부가 주관해 실시하고 월 1회 매뉴얼 정비 상태와 개인별 업무 숙지상태도 불시에 점검하기로 했다.
최근 도크에서 화재가 일어나 2명이 사망한 사고가 일어난 현대중공업은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도크는 건조된 선박을 바다에 띄울 수 있도록 해주는 시설이다. 
이재성 현대중공업 회장은 사고위험 경보제를 도입하고 사고위험 특별진단팀을 만들어 운영하라고 지시했다. 사고위험 경보제는 일주일 동안 사고위험 건수를 집계해 일정 기준치에 따라 주의보와 경보로 나누어 내리면 부서장에게 통보돼 현장 안전관리와 감독을 강화하는 제도다. 사고위험 특별진단팀은 사내 모든 시설물 및 장비, 인력을 점검하고 개선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현대중공업은 이번 사고가 일어나면서 처음으로 발동한 작업중지권을 앞으로 더욱 활성화하기로 했다. 작업중지권이 발동되면 모든 작업이 중지되고 전체시설과 관리 미흡사항을 점검해 개선하도록 조치한다.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장윤경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KAI 사장 강구영 중도하차로 민영화 논의 불거져, 실용주의 이재명 정부의 선택 주목 | 
| KAI 임원 선임 불투명하고 내부 신뢰 못 얻는 결과 낳아, 이재명 정부 상장기업답게 손보나 | 
| KAI 방산 수출 모멘텀 누리지 못해, 차재병 직무대행 체제 '리더십 공백' 길어져 걱정 커져 | 
| 이재명 대통령 "공기업 민영화는 신중해야, 국회·여론 수렴하는 제도 마련해야" | 
| 국방부 "원잠 2020년대 내로 건조 시작해야, 2030년대 중후반엔 진수 가능" | 
| 이재명 대통령 미 전쟁부 장관 접견, "전작권 회복은 한미동맹 발전할 계기" | 
| 산업계 배출권 거래제 재고 촉구, "과한 감축목표 설정되면 배출권 값만 5조" | 
| [BP금융포럼 in 하노이] "한-아세안 협력 확대 중심은 베트남", 'BP금융포럼 i.. | 
| [BP금융포럼 in 하노이] 한-아세안금융협력센터장 이영직 "지정학적 리스크가 아세안 .. | 
| [BP금융포럼 in 하노이] 베트남 재무부 대외협력·프로젝트관리부 헤드 쩐 티 투 후옌.. | 
| [BP금융포럼 in 하노이] 조국혁신당 원내대표 서왕진 "한-베 산업협력, 금융 뒷받침.. | 
| [BP금융포럼 in 하노이] 국회 기재위 국민의힘 간사 박수영 "한국 베트남 금융산업 .. | 
| [BP금융포럼 in 하노이] 민주당 민병덕 "이재명 정부 '신남방정책 계승', 한국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