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계 투자은행(IB)이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파생결합펀드(DLF)로 77억 원의 수수료수익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제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이 판매한 해외금리 연계형 파생결합펀드(DLF)와 관련해 해외 투자은행들이 상품설계에 따른 수수료로 77억 원을 번 것으로 파악됐다.
JP모건과 프랑스 소시에테제너랄은 모두 77억1700만 원의 수수료수익을 얻었다.
국내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등 제조와 판매에 관여한 모든 금융회사를 합하면 수수료 수익이 92억 원으로 추산됐다.
IBK투자증권은 2억8300만 원, NH투자증권은 3억5400만 원, 하나금융투자는 3억3500만 원의 수수료를 수익으로 올렸다. 이 상품을 판매한 10곳의 자산운용사도 모두 5억5121만 원의 수익을 얻었다.
이 상품들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해외 투자은행과 국내 증권사들은 어떠한 위험을 지지 않도록 설계한 것으로 파악됐다.
국내 증권사는 이 상품과 관련한 손실을 낮추기 위해 외국계 투자은행과 위험회피(헤징) 계약을 맺었다. 외국계 투자은행은 해외 선물시장에서 이 상품의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계약을 통해 손실을 피해갔다.
제 의원은 “이 금융회사들은 자체 리스크 관리를 위해 금리가 변동에 상관없이 수수료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상품을 설계했다”며 “설계부터 판매까지 모든 과정에서 투자자 보호와 손실을 모른척 한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준영 기자]